
더마 화장품 ( 더마 코스메틱 )은 피부 과학을 뜻하는 더마톨로지와 코스메틱 (화장품)의 합성어로 코로나19 확산 이후 스킨케어 시장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피부 건강과 안전한 성분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높아지면서 국내 더마 화장품 시장은 2017년 5,000억원 규모에서 2019년 1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더마 화장품 브랜드 25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2021년 3월 27일부터 2021년 4월 27일까지의 더마화장품 브랜드 빅데이터 19,576,780개를 분석했다. 지난 3월 더마화장품 브랜드 빅데이터 17,471,680개와 비교하면 12.05%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더마 화장품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더마화장품 브랜드평가지표에는 브랜드에 대한 채널 평가도 포함됐다.

더마화장품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닥터지 더마화장품 브랜드는 참여지수 262,507 소통지수 504,473 커뮤니티지수 651,75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18,734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276,434와 비교하면 11.15% 상승했다.
2위, 닥터자르트 더마화장품 브랜드는 참여지수 215,199 소통지수 557,331 커뮤니티지수 598,80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371,332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968,464와 비교하면 41.60% 상승했다.
3위, 피지오겔 더마화장품 브랜드는 참여지수 214,167 소통지수 417,218 커뮤니티지수 654,94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86,333으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375,007과 비교하면 6.45% 하락했다.
4위, 바이오더마 더마화장품 브랜드는 참여지수 101,268 소통지수 824,850 커뮤니티지수 289,00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15,124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776,545와 비교하면 56.48% 상승했다.
5위, 라로슈포제 더마화장품 브랜드는 참여지수 183,399 소통지수 468,158 커뮤니티지수 560,96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12,521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673,783과 비교하면 79.96%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이번 더마 화장품 브랜드평판지수는 2021년 3월 27일부터 2021년 4월 27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