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리트먼트는 샴푸 후에 머리카락의 영양을 위해 모발에 바른 후 씻어내는 모발영양제의 일종이다. 보통, 잦은 염색이나 탈색 혹은 파마로 상한 머리에 영양을 주어 재생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집에서 직접 관리하는 셀프 헤어 케어 트렌드가 보편화되면서 ‘셀프 헤어 케어 카테고리’ 시장 매출이 증가했다. 셀프 헤어 케어를 위한 염모제, 파마약, 트리트먼트 등 다양한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트리트먼트 브랜드 24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2021년 3월 23일부터 2021년 4월 23일까지의 트리트먼트 브랜드 빅데이터 10,585,863개를 분석했다. 지난 3월 트리트먼트 브랜드 빅데이터 7,809,064개와 비교하면 35.56%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트리트먼트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트리트먼트 브랜드평가지표에는 신제품런칭센터의 브랜드에 대한 채널 평가도 포함됐다.

트리트먼트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헤드스파7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307,871 소통지수 574,730 커뮤니티지수 387,03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69,634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999,633과 비교하면 27.01% 상승했다.
2위, 미쟝센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161,965 소통지수 583,480 커뮤니티지수 247,21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92,659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537,730과 비교하면 84.60% 상승했다.
3위, 쿤달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246,634 소통지수 344,490 커뮤니티지수 380,913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72,037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153,808과 비교하면 531.98% 상승했다.
4위, 모로칸오일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53,169 소통지수 310,905 커뮤니티지수 354,35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18,432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464,093과 비교하면 54.80% 상승했다.
5위, 엘라스틴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52,276 소통지수 325,080 커뮤니티지수 308,818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86,173으로 분석됐다. 지난 3월 브랜드평판지수 893,689와 비교하면 23.22%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이번 트리트먼트 브랜드 평판지수는 2021년 3월 23일부터 2021년 4월 23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