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퓨처테크포럼 AI' 개최

최 회장은 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SK그룹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포럼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회의(CEO 서밋) 부대 행사로 진행됐다. 포럼 주제는 'AI 시대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이었다.
최 회장은 AI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한 환영사를 통해 AI가 국가 성장 동력이자 안보 자산으로 위상이 올라선 현 상황을 진단했다. 그는 "AI를 빼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다"면서 "관세 문제에서도 AI가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 역량에 따라 개인, 기업, 국가 간 격차가 점점 커질 것"이라며 민·관 협력 기반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독자 AI 파운데이션(범용 AI) 모델 프로젝트 등 기술 자립과 글로벌 협력을 중요한 과제로 꼽았다.
최 회장은 AI가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하고 진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AI 인프라) 병목 현상을 한국 혼자서 다 풀어낼 수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면서도 "한국이 글로벌 AI 업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지난해 SK그룹이 주최한 글로벌 AI 포럼 'SK AI 서밋'에서 AI 발전의 제약 요소로 반도체와 에너지 인프라를 지목한 바 있다.
매트 가먼 AWS CEO와 니틴 미탈 딜로이트 글로벌AI리더는 'AI와 지역 혁신의 미래'를 주제로 대담을 하고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AI의 미래와 관련한 경험과 방향을 공유했다. 최수연 네이버 CEO와 김경훈 오픈AI코리아 총괄대표,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은 각 기업별 AI 혁신과 산업 적용 경험을 소개했다.
SK그룹은 이날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 특별관에서 시작한 'K테크 쇼케이스'에도 참가해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SK그룹은 AWS와 함께 울산에 2027년 준공을 목표로 100메가와트(㎿)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 중이다. 이달 초에는 오픈AI와 서남권에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하는 데 뜻을 모았다.
SK그룹 관계자는 "전 세계 이목이 모인 2025 APEC을 계기로 마련한 퓨처테크포럼 AI에서 글로벌 AI 이해관계자들과 나눈 자립과 협력 두 축의 AI 발전 전략이 한국과 아시아∙태평양을 넘어 글로벌 AI 미래 전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다음 달 3일 SK AI 서밋에서도 SK가 추구하는 자립과 협력의 가치 창출형 AI 생태계 방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성상영 빅데이터뉴스 기자 showing1991@naver.com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