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銀, 홍콩 ELS 사태 선방 연임 ‘맑음’ 우리銀 내부통제 관건
신한·하나, 내부통제 이상무 연임 ‘맑음’
우리, 내부통제 실패 연임 ‘흐림’

임기가 만료되는 시중은행장은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이다. 특히 이재근 KB국민은행장은 지난해 12월 한 차례 연임에 성공해 3연임에 도전한다. 금융권에서 바라보는 4대 시중은행장의 행보와 임기중 이슈, 실적을 살펴봤다.
먼저 올 상반기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동기 대비 19% 감소한 1조5059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국민은행의 홍콩 ELS 판매 규모가 시중은행 중 가장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KB국민은행의 올 1분기 홍콩 ELS(이하 ELS) 손실 관련 충당부채는 8620억원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이재근 행장이 ELS라는 변수에도 불구, 올 상반기 실적을 끌어 올린 점이 매우 긍정적”이라며 위기에서 더욱 강한 면모를 보였다는 점 등으로 3연임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신한은행은 올 상반기 전년동기대비 22.2% 늘어난 2조53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2조 클럽에 진입하며 ‘리딩뱅크’ 타이틀을 수성했다.
정 행장은 고(故) 한용구 전 신한은행장이 건강상 문제로 물러남에 따라, 갑작스럽게 행장 자리에 올랐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 행장은 호실적을 기록하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도출했다는 것. 업계에서 정 행장의 연임 행보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다.
특히 최근 금융권이 내부통제 실패로 몸살을 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 행장의 재임 기간 중 큰 규모 금융사고가 없었다는 것도 매우 고무적이다.
하나은행의 경우 올 상반기 순이익 1조750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수치지만, 결과적으로 선방했다고 분석된다. 특히 이승열 행장은 취임 첫해(2023년)부터 리딩뱅크 자리에 올라 뛰어난 경영 성과를 나타냈다.
이 행장은 전문성 강화를 위해 연금사업 부문, 퇴직연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등 하나은행의 또 다른 성장세를 견인하기도 했다.
올해 2분기 은행별 퇴직연금 적립금은 △신한은행 42조2000억원 △국민은행 39조 △하나은행 36조1000억원 △우리은행 24조6000억원 △농협은행 21조8000억원 순이다. 하나은행 퇴직연금 적립금은 전년 동기 대비 6조6000억원 증가해 수익률은 7.2%, 5개 은행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업계에선 하나은행도 신한은행과 마찬가지로 대형 금융사고가 없었다는 점 등을 들어 이 행장 연임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우리은행은 상반기 1조6735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며,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한 수치다.
반면 우리은행은 내부통제 부분에서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는 평가를 피할 수 없었다. 지난 6월 우리은행에서 영업점 직원이 서류를 위조해 대출금 100억대를 횡령하는 금융사고와 손태승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논란이 일었고 이에 큰 파문이 일었다.
심지어 이복현 금감원장은 “(손 전 회장의 부당대출 사건) 지연 보고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어 조 행장 연임에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은행권 관계자는 “실적만 보면 4대 시중은행 모두 연임에 긍정적이나, 잇따른 금융사고로 인한 내부통제 실패는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