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엔지니어링의 EVC 통합관제센터는 전기차 충전시설 고장 접수 및 고객의 일반 민원에 대응하는 업무를 진행하는 ‘콜센터’와 운영하고 있는 전기차 충전시설 전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등으로 비상상황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는 ‘모니터링센터’, 품질 및 안전관리와 정기점검, 긴급출동 등을 담당하는 ‘유지관리센터’로 구성돼 있다.
특히, 콜센터와 모니터링센터는 원활한 고객 응대와 실시간 상황 대응을 위해 365일 24시간 연속 운영한다. 또한, 유지관리센터는 전국을 다섯 개 권역(서울권, 경기권, 중부권, 영남권, 호남권)으로 나누고 지역별 사무실을 갖춰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조직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이 관리하는 전 충전소 및 충전기 시설에 대한 월 1회 이상의 정기점검 등 체계적 유지·보수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직접 운영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외 외부 전기차 충전 사업자(CPO, Charging Point Operator)의 시설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 및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에 대한 A/S 서비스 제공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전기차 충전 사업 준비 초기 단계부터 유지·보수 서비스의 필요성을 간파하고 전기차 충전시설 시공 및 설치, 운영 사업 외 유지·보수 서비스까지의 토탈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해왔다. 지난 2003년부터 영위해 오고 있는 ‘자산관리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유지·보수 시장 개척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20년 9월 전기차 충전 사업자 등록을 완료한 이후 사업을 진행해 오고 있다. 충전시설 시공 및 설치, 운영 파일럿 테스트 등 사업 준비 과정을 거쳐 지난해 10월에 EVC 사업 전담팀을 신설했으며, 올해에는 환경부에서 주관하는 전기차 충전 보조금 지원 사업에 선정돼 사업 본격화 단계에 들어섰다.
사업 본격화 첫 해인 올해 6,000기의 충전시설 계약을 목표, 지난달까지 총 2,731기의 계약을 완료한 상태로 목표 대비 46%를 달성했다. 향후 정부의 전기차 충전시설 보급 확대 정책에 발맞춰 공급을 지속적으로 늘려 2030년까지 약 4만여 기의 계약을 완료하고,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현대엔지니어링은 아파트 브랜드 ‘힐스테이트’의 시공 업체로, 향후 힐스테이트 아파트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현대엔지니어링의 충전 솔루션 시스템을 선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건설사로서의 역량을 활용해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공 및 설치 사업 수주도 확대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최근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의 시공 및 설치 사업을 수주, 향후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에 대한 시공 및 설치를 맡게 됐다. 이 외에도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초급속 충전시설 브랜드인 ‘E-Pit’에 대한 시공 및 설치 업무도 전담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과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인 ‘E-CSP(E-pit Charging Service Platform)’와 연계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E-CSP’ 플랫폼을 통해 초급속 충전시설 브랜드인 ‘E-Pit’을 공급하고 있으며, 현대엔지니어링은 이와는 별개로 완속, 급속 충전 인프라를 공급하고 연계 운영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환경부 등 관계부처에서 사업수행기관을 선정하고 평가하는데, 충전시설의 고장 및 수리 현황 등의 내용이 담긴 점검 결과를 반영하는 등 전기차 충전 사업자의 유지·보수 서비스 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며 “현대엔지니어링은 자산관리사업 경험을 통한 체계적인 유지·보수 시스템을 갖춘 독보적인 전기차 충전 사업자로 성장해 나가는 동시에, 외부 전기차 충전 운영사 및 제조사에도 우수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