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 기간 소비자 호감도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이 1위에 올랐다.
11일 여론조사기관인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해 상반기와 올 상반기 (2022.1~2022.6 vs 2023.1~2023.6) 두 기간 국내 시공능력평가 건설사 10곳에 대한 정보량(포스팅 수 = 관심도) 증가율을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건설사 선정 기준은 지난해 7월 29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국내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 10곳 대상이다.
조사 대상 건설사는 상승률 순으로 ▲롯데건설(대표 박현철) ▲포스코이앤씨(대표 한성희) ▲현대건설(대표 윤영준) ▲현대엔지니어링(대표 홍현성) ▲GS건설(대표 허창수·임병용) ▲SK에코플랜트(대표 박경일) ▲DL이앤씨(대표 마창민) ▲삼성물산 건설부문(대표 오세철) ▲대우건설(대표 백정완) ▲HDC현대산업개발(대표 김회언·정익회·최익훈) 등이다.
조사 결과, 올 상반기 롯데건설의 포스팅 수(정보량 = 관심도)는 13만276건으로 지난해 상반기 8만 2,790건에 비해 4만7,486건 57.36% 증가하며 10대 건설사 중 증가율 1위를 차지했다.
지난 3월 MLBPARK의 한 유저는 '강북 최고층 아파트'라는 제목과 함께 "청량리 롯데캐슬 65층 올여름 완공. 여긴 주변에 높은 건물 없어서 뷰 엄청 날겁니다"라는 기대 어린 글을 남겼다.
상반기 입주한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아파트에 대한 당시 글에 "65층이면 어디부터 보일까요. 날 좋으면 강남에서도 걍 보이려나", "펜트하우스 테라스도 넓던데.."라는 부러움의 댓글이 달렸다.
지난해 상반기 5만 6,713건의 정보량을 기록했던 포스코이앤씨는 올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비 2만 6,585건 46.88% 늘어나며 관심도 상승률 2위를 기록했다.
지난 3월 네이버 부동산 관련 카페의 ‘win*’이라는 유저는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 포스코더샵 단임후기”라는 제목을 단 임장 후기를 올렸다.
“오늘 중점단지는 봉선 포스코 더샵입니다..주변 궁금한 아파트 제일풍경채와 금호 단지를 잠깐 둘러보았습니다”라고 설명한 이 유저는 세세한 임장 후기를 남기며 “포스코가 3월들어 가격이 많이 조정이 들어가고 있지만 아직 전세가율이 받쳐주질 않아서 투자금이 다소 소요된다고 본다. 학학주근접의 포스코 환금성과 입지독점성이 뛰어난다고 본다”라는 의견을 덧붙였다.
현대건설은 올 상반기 37만 5,558건으로 지난해 동기 26만 9,763건에 비해 10만 5,795건 39.22% 늘어나며 3위를 차지했다. 총정보량에선 10대 건설사중 1위였다.
지난 6월 24일 현대건설이 6조 5,000억 원 규모의 사우디 석유화학단지 건설사업 ‘아미랄 프로젝트’를 수주하면서 커뮤니티 채널 다수의 반응은 뜨거웠다.
같은 달 커뮤니티 채널 루리웹의 한 유저는 “현대건설과 중동은 궁합이 잘 맞는 듯”이라는 제목과 함께 “정주영이랑 이명박 때부터 중동을 기반으로 성장해온 회사라 그런지 중동 건설 노하우는 탑티어 인 듯”이라는 글을 올렸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전년 대비 포스팅 수가 32.1% 증가하며 상승률 4위에 올랐다.
GS건설은 전년 대비 관심도 상승률 31.51%로 5위에 랭크됐다.
SK에코플랜트는 올상반기 관심도가 전년 동기 대비 21.11% 상승했으며 DL이앤씨 역시 18.48%로 20%에 가까운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포스팅 수는 15.72%, 대우건설은 9.64% 증가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올 상반기 포스팅 수는 전년 동기 대비 –58.8% 급감했다.
이는 지난해 1월 11일 발생한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로 온라인 관심도가 급등한 여파로 같은해 상반기 포스팅 수가 크게 늘었지만 올 상반기엔 이같은 포스팅들이 더이상 게재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앤리서치는 올 상반기 10대 건설사에 대한 호감도 조사도 실시했다.
소비자 호감도에서는 관심도 상승률 4위를 기록했던 현대엔지니어링이 1위를 차지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1분기 긍정률 81.26%, 부정률 3.23%를 기록,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뺀 값인 순호감도는 78.03%를 기록했다. 유일한 70%대이다.
지난 2월 디시인사이드 부동산갤러리의 한 유저는 “힐스테이트 광교 호수 뷰가 이쁘네”라는 제목과 함께 사진 인증샷을 남겼다.
이 유저는 “확실히 난 시티뷰보단 자연뷰를 더 선호하는것 같음. 여름에 보고 있으면 시원하겠다”라는 소감을 내비쳤다. 이에 “여기 기둥식 주복이라 아마 층간 소음 없을걸. 고층이면 원천호수 신대호수 양쪽 다 조망 가능함”, “역세권은 아니지만 자연친화적이라 괜찮지”와 같은 동의성 댓글이 눈길을 끌었다.
관심도 상승률 1위의 롯데건설은 긍정률 68.96%, 부정률 6.38%, 순호감도 62.57%로 올해 10대 건설사 중 순호감도 2위에 올랐다.
지난 6월 커뮤니티 채널 뽐뿌에는 “시공현장 찾는 건설사 CEO들…안전관리 '고삐'”라는 제하의 기사가 공유됐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안전 문제가 곧 경영 리스크로 이어지는 만큼 각 건설사 관계자들의 현장 점검을 다룬 내용이었다.
현대건설은 올 상반기 긍정률 63.71%, 부정률 7%, 순호감도 56.71%를 기록하며 호감도 3위를 차지했다.
관심도 상승률 2위를 기록했던 포스코이앤씨는 올 상반기 긍정률 61.81%, 부정률 5.81%, 순호감도 56%로 4위에 랭크됐다.
SK에코플랜트는 긍정률 62.47%, 부정률 8.2%, 순호감도 54.27%로 5위에 안착했다. 6위에 오른 대우건설은 긍정률 62.39%, 부정률 9.27%, 순호감도 53.12%를 보였다.
HDC현대산업개발은 60.06%의 긍정률에 8.61%의 부정률을 차감한 순호감도는 51.44%로 7위를 차지했다. 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 상반기 사고 후폭풍으로 같은 기간 순호감도는 곤두박질쳤으나 올해는 회복세를 보였다.
이어 DL이앤씨(긍정률 54.17%, 부정률 8.36%, 순호감도 45.82%), GS건설(긍정률 56.46%, 부정률 11.36%, 순호감도 45.1%) 순이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긍정률 53.12%, 부정률 13.66%, 순호감도 39.45%로 최하위에 머물렀지만 타업종 평균 호감도에 비해서는 낮지 않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올 상반기 10대 건설사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포스팅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57% 늘어 여행업종 상승률에 버금 갈 정도였다"면서 "분양가 상승 등을 우려한 실수요자들의 잰 걸음이 빅데이터상으로도 확인되고 있다"고 전했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