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분양물량은 36만 4,970가구로 2021년 38만 8,350가구 대비 6% 감소했다.
타입별로 2022년 전용 85㎡이하 중소형 분양물량은 32만 9,977가구로 2021년(36만 7,849가구) 대비 약 10.3% 줄었다. 2018년(-7.4%) 이후 4년만의 감소세다. 반면 전용 85㎡초과 중·대형 타입은 같은 기간(2만 501가구→3만 4,993가구) 70.7% 증가했다.
분양은 줄었지만 중소형 타입은 청약시장에서 비교적 건재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중소형 타입의 청약자수는 86만 2,993명으로 2021년 206만 6,193명 대비 약 5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체 청약자수가 61%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경쟁이 있었던 것이다. 반면 중대형 타입(94만 2,922명→30만 5,735명)의 경우 약 68%가 줄어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가 비교적 있던 만큼 중소형 타입의 거래 비율도 늘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아파트 전체 매매거래량에서 중소형 타입 거래 비율이 2010년~2018년 동안 84~85%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9년부터 연속 상승해, 지난해 92.3%까지 올랐다. 대형 타입은 같은 기간 14~15%에서 7.7%까지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2021년까지 부동산 호황기를 누리며 대형 타입 인기가 높아졌으나 부동산 불황이 오면서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소형 평형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며, “중소형 평형의 경우 1~2인 가구 증가로 수요도 꾸준히 형성되고 있는 만큼 환금성도 높은 편”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전국에서 전용 85㎡이하 중소형 단지들이 잇따라 신규 분양되고 있거나 분양될 예정이어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쏠릴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롯데건설은 강원 원주 반곡동에서 ‘원주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공급 중이다. 이 단지는 전용 84~202㎡, 총 922가구로 조성되며 전체의 85%, 781가구가 중소형 타입인 전용 84㎡로 구성돼 있다.
GS건설은 충남 천안에서 ‘북천안자이 포레스트’를 분양 중이다. 중소형 타입의 전용 43~84㎡, 총 1,348가구의 대단지 아파트로 일반분양 물량은 378가구다.
신세계건설은 중소형 타입으로 구성된 ‘빌리브 에이센트’를 이달중 분양할 예정이다. 빌리브 에이센트는 지하 5층~지상 24층, 전용 49~84㎡ 총 492가구/실 규모로 조성된다.
효성중공업 역시 이달 중 경기도 안성시 ‘해링턴 플레이스 진사(전용 74~100㎡)’와 경기도 남양주시 ‘해링턴 플레이스 다산파크(전용 84㎡)’를 분양할 예정이다. 두 단지 모두 중소형 위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금강주택은 경기 화성에 ‘동탄신도시 금강펜테리움 6차 센트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1층~지상 20층, 14개동, ▲84㎡ 718가구 ▲100㎡ 385가구 총 1,103가구 대단지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