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율주행 이동체 연구와 디지털트윈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연구 설비 및 인력을 네모개러지로 한 데 모아 ‘인하우스 팩토리'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그동안 플랫폼 기술 개발에 주력해 온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미래 이동체와 인프라 등의 하드웨어 개발로까지 연구 영역을 확대하고, 이동의 혁신을 이루기 위한 ‘미래 모빌리티 엔드투엔드 설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네모개러지는 6개층 연면적 2,734m2 규모로 조성됐으며 3D프린팅팜, PCB(인쇄회로기판) 프린터, 역설계 스캐너 등을 이용해 하드웨어 프로토타입 및 부품 제작이 가능한 ▲메이커 스페이스, 데이터 보안 및 서비스 구현 시간 단축을 위한 자체 ▲데이터 스토리지 인프라,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데이터 취득부터 업데이트까지 디지털트윈 솔루션 일체 개발이 가능한 ▲디지털트윈 팩토리를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차량, 지도구축용 맵핑 로봇의 성능 실험과 실내외 복합 측위기술 검증, 센서 캘리브레이션(보정) 등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갖춰 설계 > 프로토타이핑 > 검증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한 자리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최효경 빅데이터뉴스 기자 bdchk@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