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술을 통해 교량의 처짐과 진동 계측이 가능하고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인 흙막이벽과 옹벽 등의 거동이력을 추적감시 할 수 있으며 접근이 어려운 고지대를 비롯 변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계곡이나 바다 등에서도 계측이 가능해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되지 않고 처짐과 변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우건설은 접근이 어려운 위치는 영상 내에서 특정 포인트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타깃 부착 없이도 계측이 가능하도록 설계했으며 고층건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동특성 동특성: 구조물의 동적 거동 시뮬레이션을 위한 ‘고유진동수’와 ‘감쇠비’ 값 계측 시 장시간, 고비용이 소요되는 가속도 계측을 지상에서 간단한 촬영으로 대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스테레오 방식의 영상 분석 스테레오 방식의 영상 분석: 복수의 카메라로 촬영된 평면 이미지로부터 3차원 위치관계 복원을 통해 대상구조물의 거동이력을 측정한다.
대우건설 기술연구원 풍동실험실에는 '영상기반 구조물 변위계측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시스템으로 정밀한 풍동실험을 진행할 수 있어 구조물의 거동을 확인하고 합리적인 풍하중
을 산정할 수 있으며 모형에 근접해 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류의 교란을 근본적으로 방지해 보다 정밀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대우건설측의 설명이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