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디앤디는 21일 2026년까지의 사업 전략과 비전을 담은 중장기 사업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크게 부동산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한 ‘SK D&D 3.0’과 에너지 사업 중장기 계획을 담은 ‘친환경 에너지 스토리’로 구성됐다.
먼저, SK디앤디는 ‘SK D&D 3.0’을 통해, 업무 공간과 주거 공간을 중심으로 한 ‘공간 개발 사업자(Space Developer)’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새로운 사회 변화 및 지속 가능성을 반영한 개발∙투자∙운영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한 데이터 및 AI 기반 공간 서비스(Space-As-a-Service, SaaS) 솔루션 개발 ▲건강한 도시재생 및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연결 및 ESG 사업 모델 구축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공간 개발 파트너이자, 더 나은 생활을 위한 리빙 솔루션 파트너를 지향한다는 내용이다.
SK디앤디 김도현 대표는 “물리적 자산만을 의미하는 ‘부동산’을 넘어, 해당 자산에서 일어나는 부동산 금융, 운영, 서비스, 콘텐츠까지 포괄한 ‘공간’ 디벨로퍼로서의 도약을 의미한다”며, “즉, 공급자 중심의 개발이 아닌, 솔루션을 활용하여 수요자 관점의 지속 가능한 주거, 업무 공간으로 개발로 영역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업무 공간에서는 향후 복합개발 사업, 도시재생 프로젝트 등 상품군을 더욱 확장하고, 사용자 경험(UX) 위주의 IT 기반 운영 솔루션을 도입한다. 규모적으로는 82만6천㎡(약 25만 평)에서 2026년 175만2천㎡(약 53만 평)까지 공급, 오피스 개발 시장 내 선도적 위치를 공고히 할 예정이다.
또한, 주거 공간은 올해 초 총 4개 사이트를 추가로 선보이며 총 3,000여 가구를 운영하고 있는 SK디앤디의 주거 브랜드 ‘에피소드’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활용해, 아파텔, 청년 주택 등 더욱 고도화 된 주거 가치를 반영한 도시 주거 대안 상품군을 확장한다. 운영 솔루션에 기반하여 2026년 총 5만 가구까지 규모를 확보, 시장 내 독보적 사업자로 올라설 것을 목표로 했다.
에너지 사업 역시 발전 자원 개발을 넘어 운영, 그리고 플랫폼을 통한 전력중개 시장으로 확장해 간다. 전력중개 시장 개방 이후 본격적인 VPP 플랫폼 사업자로서 거듭나기 위해, 솔루션 파트너들과 함께 분산 자원의 애그리게이터(Aggregator, 통합 플랫폼) 사업을 전개한다. 이를 통해 자원 확보하는 동시에, 발전량 예측, 계통 대응 등 전력 수급 안정화 서비스 제공 및 발전 자원 운영 및 관리 역량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SK디앤디는 중장기 전략을 바탕으로, 2026년까지 공간 개발에서는 총 개발 면적 300만㎡(약 91만 평), 디앤디인베스트먼트 운용자산규모(AUM) 10조8000억원, 솔루션, 이용자 수 360만 명(MAU), 500개 이상의 파트너십 달성, 그리고 3,000MW 규모의 신재생 에너지 개발을 통해, 전사 매출액 2조 이상, 순이익 2,000억 이상의 이익을 창출할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김도현 대표는 “SK디앤디는 다양한 포트폴리오 및 우량 투자 파트너를 바탕으로, 최근 5년 오피스 공급 실적 1위, 기업형 임대주거 시장 독보적 지위 등 우수한 실적을 내왔다”며, “다만, 금리 인상 등 경제성 요인과 더불어, 사용자의 생활 패턴 변화 및 기술의 발전에 따른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사업기반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미래 성장 동력을 계속해서 고민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