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 서비스는 5세대 이동통신를 말한다. 최대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이동통신 기술로 4세대 이동통신인 LTE에 비해 속도가 20배가량 빠르고, 처리 용량은 100배 많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가상현실,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5G 서비스 3개 브랜드의 지난 한 달간 빅데이터 평판을 분석했는데, 2020년 5월 18일부터 2020년 6월 18일까지의 5G 서비스 브랜드 빅데이터 1,704,979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를 알아냈다. 지난 5월 브랜드 빅데이터 1,828,387개와 비교하면 6.75%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5G 서비스 브랜드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은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알고리즘을 찾아내서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소비자와 브랜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계분석으로 측정된다.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브랜드평판 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5G 서비스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KT 5G 브랜드는 참여지수 155,655 미디어지수 142,005 소통지수 835,094 커뮤니티지수 248,05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38,802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435,724와 비교하면 13.72% 하락했다.
2위, SK텔레콤 5G 브랜드는 참여지수 16,878 미디어지수 163,979 소통지수 133,696 커뮤니티지수 109,637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60,211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231,001 와 비교하면 12.65% 상승했다.
3위, LG유플러스 5G 브랜드는 참여지수 5,939 미디어지수 128,264 소통지수 123,517 커뮤니티지수 76,511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5,967로 분석됐다. 지난 5월 브랜드평판지수 161,663와 비교하면 27.40% 상승했다.

이어 "5G 서비스 브랜드 카테고리 빅데이터 분석을 해보니 지난 5월 브랜드 빅데이터 1,828,387개와 비교하면 6.75%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8.22% 상승, 브랜드이슈 6.35% 상승, 브랜드소통 17.26% 하락, 브랜드확산 21.55% 상승했다"라고 브랜드 분석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