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 본사에서 지난 11일(목)부터 오는 25일(목)까지 매주 목요일 세 차례에 걸쳐 교재 집필자인 이화여대 국어문화원 한은주 선임연구원과 김선영 연구원이 직접 강사로 나선다.
업무 특성에 맞춰 PD(연출), MD(상품기획자), 심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자막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표기를, 쇼호스트를 대상으로는 외래어 남용, 비공식적 언어 등 대화에서 발생하는 적절하지 못한 언어 사용에 대한 강의가 이뤄진다. 특히, 쇼호스트의 경우 고객과 직접적인 소통을 하는 만큼 2회 강의로 집중적인 교육이 진행된다.
롯데홈쇼핑은 지난해 2월 국립국어원과 올바른 국어 사용에 대한 업무 협약을 업계 최초로 체결했다. 이후 5개월 동안 홈쇼핑 방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를 분석해 잘못된 표현과 개선점을 엮어 '홈쇼핑 언어 사용 지침서'를 발간했다. 총 120 쪽 분량으로, 자막, 대화, 담화 및 전략 등 홈쇼핑 방송 언어의 오류를 세 가지 항목으로 분류했다.
규범에 어긋나는 표기, 저속한 표현, 사회적 증거 제시 전략 등 항목별로 나타날 수 있는 잘못된 유형을 15가지로 세분화해 문제점을 제시하고, 방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롯데홈쇼핑은 지침서가 보다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대외기관, 언론사, 홈쇼핑 업계 등에 전달하기도 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