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2019~2023년) 국내 전기차 보급(등록)대수는 6.0배, 사고발생 건수는 6.8배 증가했으며 특히 고전압 배터리 손상사고는 14.1배나 증가했다.
그러나 배터리 케이스 스크레치 등 전기차 배터리 경미 손상사고임에도 고가의 신품 배터리로 전체 교체 수리하는 사례가 대부분이며,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른 환경 측면의 사고 전기차 사용 후 폐배터리 발생 최소화와 전기차 수리비 사회적 비용 절감 등을 위한 배터리 재제조 활성화 등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배터리 손상(파손) 주요 원인은 도로 상의 돌 등 노면 이물질에 의한 배터리 손상사고가 46.0%를 차지, 가장 빈번한 전기차 배터리 손상 사고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연석, 과속방지턱 등 도로시설물에 의한 배터리 손상도 38.9%를 점유하고 있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정비현장을 고려한 재제조 배터리의 성능평가 및 안전기준을 마련을 통해 배터리 재제조 시장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