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기획①] 키움증권, 최근 5년 중 2021년 관심도 최다…직장인 관심도 50%↑](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3161751520794362abca1943121129248137.jpg&nmt=23)
지금까지 빅데이터 분석 자료는 포스팅 수와 포스팅의 호감도만을 대상으로 주로 분석하거나 사회공헌, ESG경영 등에 관해 업체간 비교 분석을 주로 실시했지만 이번 증권업계 빅데이터 분석 시리즈에서는 각 사별 최근 5년간 포스팅수(정보량=소비자관심도)와 2022년 호감도 및 해당 증권사 포스팅 유저들의 성(性)별, 직업 등의 프로필을 분석합니다.
첫회에는 임의선정한 키움증권을 대상으로 분석했습니다.<편집자 주>
최근 5년간 키움증권에 대해 정보량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21년 관심도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은 코스피가 3000대에서 오랫동안 머물던 시기로 증시가 크게 달궈졌던 시기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7일 데이터앤리서치는 키움증권에 대해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온라인 포스팅 수(정보량=관심도)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분석 결과 2018년부터 2022년 최근 5년간 키움증권 관련 포스팅 수는 총 148만3,435건이었다.
2021년에 가장 많은 49만4,410 건을 기록했으며, 2019년에 가장 적은 20만5,087건을 보였다.
![[증권사 기획①] 키움증권, 최근 5년 중 2021년 관심도 최다…직장인 관심도 50%↑](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3161751570180062abca1943121129248137.jpg&nmt=23)
나머지 포스팅은 긍정도 부정도 아닌, 중립으로 간주되는 포스팅이다.
긍정률에서 부정률을 제외한 값인 순호감도는 25.58%인 것으로 분석됐다.
![[증권사 기획①] 키움증권, 최근 5년 중 2021년 관심도 최다…직장인 관심도 50%↑](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3161801240738562abca1943121129248137.jpg&nmt=23)
우선 자신을 남성 또는 여성이라고 밝힌 글에서 성별 비중을 살펴본 결과 남성이 2,058건, 여성이 3,190건을 올렸다.
키움증권의 경우 남성(39.21%)보단 여성(60.79%)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지난해 대한민국 전체 온라인 글 중 성별을 밝힌 포스팅을 대상으로 집계했을 경우 여성이 4명중 3명꼴인 것을 감안하면 키움증권의 여성 포스팅 비중이 평균보다 높지는 않았다.
![[증권사 기획①] 키움증권, 최근 5년 중 2021년 관심도 최다…직장인 관심도 50%↑](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303161752040194362abca1943121129248137.jpg&nmt=23)
이어 사업가가 4.54%로 3위, 방송/예술직이 3.95%로 4위, 개발직이 2.51%로 5위를 차지했다.
한시은 빅데이터뉴스 기자 bdhse@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