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에코플랜트는 경북 안동 소재 경북도청에서 ‘육양국 연계 글로벌 데이터센터 캠퍼스’ 조성을 위한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을 비롯해 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강덕 포항시장, 김태옥 한국전력공사 부사장, 김병오 한국산업단지공단 기업지원본부장, 심장석 DCT텔레콤 대표이사, 김형윤 KB자산운용 대체투자부문장 등이 참석했다.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SK에코플랜트와 DCT텔레콤, KB자산운용은 경상북도 포항에 위치한 포항 블루밸리 산업단지 내에 약 1조 5,000억 원을 투자해 총 120MW 규모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캠퍼스(집적단지) 및 이와 연계한 국제 해저 광케이블, 신규 육양국을 조성하게 된다. 육양국은 국가 간 연결된 해저 광케이블을 지상 통신망과 연결해주는 중간기지 역할을 하는 시설이다. 국내에는 현재 부산 지역에 집중돼있다.
SK에코플랜트는 사업 진행 시 데이터센터 캠퍼스 설계·구매·시공(EPC), 부지확보, 인허가 취득, 운영사 합작법인 설립 등에 참여할 예정이다. DCT텔레콤은 육양국·해저 광케이블의 설치·운영을 맡고 KB자산운용은 디지털 인프라 펀드를 활용한 투자를 담당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북도, 포항시, 한국전력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등 관·공 유관기관은 사업에 필요한 행정(개발관련 인허가, 정부 지원정책 적용), 재정(시설 보조금), 기반시설(전력공급)을 전폭 지원한다.
이번 사업은 서울·수도권이나 부산이 아닌 경상북도 포항 지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 캠퍼스 조성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는 것이 SK에코플랜트의 설명이다. 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력수급 불균형 해소와 분산에너지 활성화의 일환으로 시행중인 ‘데이터센터 지방 분산 지원 정책’의 첫 민·관·공 협력사례다.
산업 전반 디지털 전환(DT) 가속화, 빅데이터 관련 산업 증가 등 늘어나는 국내외 정보통신기술(ICT) 수요에 따라 신규 데이터센터 수요도 꾸준히 늘고 있지만 여전히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현상이 해소되지 않는 가운데, 이번 사업이 지방분산의 물꼬를 틀 수 있는 우수한 선례가 될 전망이다.
또한, 미국, 네덜란드, 싱가포르, 일본 등 디지털 인프라 산업분야 선진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육양국 연계 대규모 데이터센터 캠퍼스’ 사업모델을 국내 최초로 도입하면서 동북아시아·태평양 지역 디지털 인프라 글로벌 허브 역할도 기대된다.
이번 사업에 포함된 신규 육양국 및 해저 광케이블 조성을 통해 포항 데이터센터 캠퍼스 육양국과 일본 후쿠오카 육양국이 직접 연결되며, 향후 미국, 유럽 등 전세계 육양국들과의 국가 간 연결도 단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국가 간 해저 광케이블 및 국내 거점 연결을 통한 차별적인 망 경쟁력을 확보해 글로벌 빅테크 기업 유치에 강점을 갖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클라우드서비스, OTT 등을 제공하는 다수의 글로벌 데이터센터 오퍼레이터들이 이미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사업 추진을 통해 데이터센터 디벨로퍼에서 나아가 디지털 인프라 디벨로퍼로 영역을 넓힌다는 방침이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지난해 연료전지 국내 1위 사업자로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기여는 물론 데이터센터 디벨로퍼 역량을 총동원해 정부 기조에 적극 동참하고자 한다”며 “본 사업참여를 통해 포항 데이터센터 캠퍼스가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디지털 인프라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