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서울에서는 총 8개 단지 1,033가구(특별공급제외)가 일반공급 됐다. 이에 1순위 청약통장 총 5만 3,571건이 접수, 평균 경쟁률은 51.86대 1로 전국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2위는 평균 27.02대 1의 충북이 차지했다.
신규 분양뿐만 아니라 분양권 및 입주권 거래도 평년에 비해 많이 이뤄졌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 상반기 서울에서 총 240건의 분양권 및 입주권 거래가 이뤄졌다. 이는 작년 동기 거래(48건) 보다 5배 많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해 내내 매달 한 자릿수에 그쳤으나, 올해는 매달 두 자릿수 거래가 이뤄졌고 최근 3개월은 월 평균 50건을 상회했다.
이 같은 거래 증가는 1.3 부동산 대책 규제완화에 따라 전매제한 기간이 완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에서는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전매제한 기간이 1년으로 줄면서 그간 전매제한으로 인해 구입하지 못했던 물건들을 대기 수요자들이 매입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렇듯 청약을 비롯한 분양권 및 입주권 시장까지 올해 서울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는 가운데, 업계 관계자들은 이러한 반등의 이유로 ‘노후도’를 꼽는다.

새 아파트에 대한 잠재적인 수요는 풍부하지만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빨리 회복될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또한 전매제한, 청약자격 등 규제완화에 따라 부담이 덜어지면서 소극적이던 과거에서 적극적으로 분위기가 바뀐 영향도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서울 분양시장 분위기가 바뀐 것은 사실이나 소비자들은 입지, 가격, 브랜드 등 꼼꼼하게 선별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상반기 분양에서 청약결과가 기대에 못 미친 곳들도 있기 때문”이라면서 “분양은 준공 이후의 가치가 특히 중요하기 때문에 재료 등을 잘 따져보고 청약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따라 향후 서울에서 공급되는 신규 분양 단지에도 수요자들의 관심이 모일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이달 서울에는 8개 단지, 총 2,163가구(임대 제외)가 일반에 공급된다. 이 중 관악구 ‘서울벤처타운역 푸르지오(182가구)’, 동대문구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173가구)’, 강동구 ‘둔촌 현대수린나(34가구)’가 이미 청약을 마쳤다.
용산구에서는 ‘용산 호반써밋 에이디션’이 공급될 예정이다. 2019년 11월 ‘용산 데시앙 포레’ 이후 42개월만의 아파트 공급이다. 한강로2가에 아파트 전용면적 84~122㎡ 110가구, 오피스텔 전용면적 34~67㎡ 77실, 오피스, 상가 등이 함께 들어서는 복합단지다. 이 가운데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아파트 90가구, 오피스텔 49실, 오피스 22실이 일반분양 물량이다. 용산역과 신용산역 도보거리에 들어서며 2030년에는 용산역에 GTX-B노선까지 개통될 예정이다.
광진구와 동작구에서는 일반분양 500가구 이상 공급을 앞두고 있다. 광진구 자양동에서는 롯데건설이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을 분양할 예정이다. 총 1,063가구 중 전용면적 74~138㎡ 631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동작구 상도동에서는 대우건설이 일반분양 771가구의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를 공급한다.
이 외에도 성동구에서 ‘청계 SK뷰(108가구)’, 강동구에서 ‘천호 더샵 센트럴시티(가칭, 174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강지용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