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생들이 개발한 서비스는 다양한 일회용품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높이기 위해 재활용품을 인식하여 맞춤형 리사이클 및 재활용 방안 추천하는 서비스를 MSA 기반 구현하였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파스-타)은 클라우드 상에서 서비스를 개발과 운영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외산 PaaS가 주도하는 핵심 기술이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파스-타)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주도적으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NHN클라우드, KT클라우드 등 여러 IT기업과 협업하여 연구개발하고 있다.
학생들이 소속된 빅데이터과는 빅데이터 전체 처리 과정을 교육하는 빅데이터학과이며, 주요 교육 내용은 빅데이터 전체 처리과정인 데이터수집, 저장, 처리, 분석, 시각화 실습 및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 환경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구현을 교육한다.
특히 한국폴리텍대학 서울강서캠퍼스 빅데이터과는 4차산업의 핵심 기술인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교육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받은 빅데이터과 하재형 학생은 “파스-타는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기반 소프트웨어 구현에 적합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로 사용하는 방법이 간단하여 소프트웨어 개발하기 편리하다.”며, “빅데이터 기술과 클라우드 기술을 융합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되고 싶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병학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