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리카보네이트는 투명하면서도 충격과 열에 강해 자동차와 가전제품 내외장재, 방음벽, 의료기기 부품 등에 주로 쓰이는 플라스틱 소재로, 친환경 폴리카보네이트 재생 원료와 새 원료를 혼합해 만든다.
제조 과정에서 물성 약화 등의 문제가 있어 친환경 소재로는 현재 재생 원료가 30∼50% 함유된 것을 쓰고 있고, 국산 소재에서 재생 원료 함유량은 최대 85% 수준이다.
삼양사는 양질의 재생 원료를 이용하고 혼합 과정에서 첨가제 비율 등을 재설계해 이번에 재생 원료 함유량을 90%로 높이면서도 폴리카보네이트 본연의 물성을 갖춘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삼양사는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소재 1천t(톤)을 생산할 때 일반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시와 비교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6,200t 줄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삼양사가 개발한 친환경 소재는 미국 안전규격개발 및 인증기관 UL로부터 환경마크 'ECV(Environmental Claims Validations)' 인증을 받았으며 노트북 등 소형 기기에 먼저 적용하고 이후 전자기기, 인테리어 제품 등으로 활용 범위를 넓힐 예정이다.
최효경 빅데이터뉴스 기자 bdchk@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