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분야에 빅데이터 분석 도입하여 행정서비스의 질과 효율 상승 기대돼
![정류소를 빅데이터 분석으로 표시한 도표 [이미지=동구청]](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1070118042500608f98d71351e1212103181.jpg&nmt=23)
구는 버스정류소 빅데이터 자료를 기반으로 탑승·환승의 수요와 정류소 노후도 등에 따라 대상지를 선정하고 향후 정류소를 정비하는데 우선순위를 정할 방침이다.
버스정류소 정비 사업은 겨울철에 대비해 온열의자를 설치하고 정류소 내 깨끗한 공기 질을 유지하는 에어커튼을 다는 등 구민이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하는 사업으로, 교체된 의자는 상태에 따라 기존 정류소의 의자를 교체하는데 활용될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제한된 예산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분석으로 체계적인 정비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아직 초기 분석 자료로 나온 결과인 만큼 추가적인 데이터와 구민의 의견 등 불편 사항을 지속적으로 살펴 구민의 만족도를 높여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인환 구청장은 “이번 버스정류소 정비사업 뿐만 아니라 구민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분석 기법을 도입해 행정서비스의 질과 효율이 더욱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