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군 당국, 코로나19로 축소‧중단했던 한미연합 군사훈련 3월 둘째 주 재개 논의
김승남 의원, “코로나19 상황, 남북 신뢰관계 저해, 군사적 긴장 유발”
정부 당국에‘한반도 평화 정착의 확고한 의지 표명과 함께 지혜로운 대처’ 주문

15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한미는 3월 둘째 주에 전반기 연합지휘소훈련(CPX)을 진행하기로 하고 세부 일정 등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 관계자는 “코로나19 등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한미 간에 협의가 진행중이며 아직 최종 합의는 안 된 상태”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한미 연합훈련은 코로나19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북한의 반발 등 여러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사안이다.
지난해 한미연합 군사훈련은 코로나로 대폭 축소되거나 중단된 바 있다.
김승남 의원은 “현 정부 임기 내 전작권 전환을 위해서는 완전운용능력 검증이 필요한데도 미국이 이 부분에 대해서만 코로나19를 이유로 반대하고 한미 연합훈련을 재개하자고 주장하는 것은 아전인수 격의 논리”라고 지적했다.
남북은 2018년 4.27 판문점 선언 이후 같은 해 합의한 9.19 군사합의 이후 지상, 해상, 공중 등 모든 접경지역에서 군사 상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비무장지대 내 GP를 철수했으며, GP가 철수된 곳에는 DMZ 평화의 길이 조성돼 국민들이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또 9.19 군사합의에 따라 지난해 4~11월 강원도 철원 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는 400여 구의 유해를 발굴했고 9명의 국군전사자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군이 비무장지대 안에서 실시한 최초의 유해발굴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런 남북 간 신뢰관계 구축과 코로나19 상황까지 맞물리면서 2018년 이후 한미연합 군사훈련은 최대한 북한을 자극하지 않는 범위에서 진행된 바 있다.
김승남 의원은“남북이 서로 9.19 군사합의를 준수하려는 상황에서 군사훈련을 매개로 북한과 대화할 수 있다는 입장은 결코 올바른 접근 방식이 될 수 없다”며“정부 당국이 한반도 평화 정착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표명하고 지혜로운 방안도 모색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정훈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