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G 서비스는 5세대 이동통신를 말한다. 최대 속도가 20Gbps에 달하는 이동통신 기술로 4세대 이동통신인 LTE에 비해 속도가 20배가량 빠르고, 처리 용량은 100배 많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가상현실, 자율주행, 사물인터넷 기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5G 서비스 3개 브랜드의 지난 한 달간 빅데이터 평판을 분석했는데, 2019년 12월 19일부터 2020년 1월 20일까지의 5G 서비스 브랜드 빅데이터 1,329,485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를 알아냈다. 지난 12월 브랜드 빅데이터 1,664,139개와 비교하면 20.11%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5G 서비스 브랜드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2위, SK텔레콤 5G 브랜드는 참여지수 13,128 미디어지수 145,587 소통지수 115,074 커뮤니티지수 100,347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28,548 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576,163와 비교하면 11.74% 하락했다.
3위, LG유플러스 5G 브랜드는 참여지수 9,064 미디어지수 95,222 소통지수 79,099 커뮤니티지수 54,446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2,609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533,430와 비교하면 37.47% 하락했다.

이어 "5G 서비스 브랜드 카테고리 빅데이터 분석을 해보니 지난 12월 브랜드 빅데이터 1,664,139개와 비교하면 20.11% 줄어들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42.13% 하락, 브랜드이슈 25.35% 하락, 브랜드소통 2.87% 하락, 브랜드확산 30.98% 하락했다"라고 브랜드분석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