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17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7'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가구주의 나이가 65세 이상인 가구는 19.5%였다.
이중 노후 대책이 부족하다고 여기는 가구는 45.3%에 달했다.
가장이 은퇴하면 대체로 가구소득이 감소하게 되며, 지출을 대폭 줄이지 않는 한 생활비 부족에 시달린다.
이는 통계로도 확인되는데, 60세 이상 가구의 평균 가구소득 비율은 66.8%로 기준치 100를 밑돌았다. 소비지출 비율도 64.6%에 그쳤다.
66세 이상 노인들의 상대적 빈곤율은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2.6%보다 월등히 높았다. 노인 2명중 1명이 중위소득(소득 기준 50% 해당하는 값)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소득을 벌고 있단 얘기다.
반면 자녀들의 부모 부양은 줄고 있다.
부모 스스로 생활비를 해결하는 비율이 2008년 46.6%에서 지난해 52.6%로 6%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모와 자녀가 동거하는 비율은 38.0%에서 29.2%로 8.8%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기준 60세 이상 노인가구의 주택 소유 비율은 66.7%로 40세 미만 가구(32.5%)의 2배가 넘었다. 가계가 보유한 자산에서 거주하고 있는 주택을 포함한 실물자산의 비중도 82.0%로 30세 미만 가구(37.4%)의 2.2배나 됐다.
축적한 자산을 자녀에 물려주기보다 내 노년을 위해 쓰겠다는 인식은 커지고 있다.
소유 주택을 자녀에게 상속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25.2%로 나타났다. 노인 4명중 1명이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것인데, 8년 전(12.7%)보다 두 배 많아진 것이다.
자신이 소유한 집을 담보로 맡기고 매달 노후 생활자금을 받는 국가 보증 역모기지론인 주택연금 가입자는 늘었다. 지난해 국민연금 가입 건수는 1만309건으로 1년 전의 6486건보다 58.9% 늘었다. 가입자의 73.8%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장선우 기자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