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울산 현대중공업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이날 조사에 참가한 CJ대한통운 택배기사로 일하던 이상용 씨는 “2015년 CJ대한통운 울산지역노동자들의 파업투쟁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CJ대한통운만이 아니라 울산지역 타 업체 택배회사 취업도 방해받았다”고 진술했다. 부인 또한 택배업체 지원업무를 거부당했다.
지난해 가을 하차분류업무를 조기 종결하라는 요구를 걸고 투쟁했던 CJ대한통운 김명환 씨도 이를 빌미로 CJ대한통운은 대리점을 폐쇄조치와 고용승계를 거부당했다. 김씨는 수차례 타 대리점 지원했으나 본사에서 ‘사번코드 발급 불가’로 인해 취업을 할 수 없었다.
노동계 블랙리스트 국회진상조사단은 오는 10일에도 울산 현대중공업 블랙리스트 진상조사를 진행하며, 6월 중으로 대리점 및 중간관리자와 본사 조사를 거쳐 실상을 밝히고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진상조사단은 CJ대한통운과 현대중공업 등 비정규직, 특수고용노동자 노동탄압과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 등을 국회차원에서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5월 29일 발족했다. 윤종오, 김종훈, 우원식 의원이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