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공급 확대에 25~39세 여성 고용 촉진 효과

28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하 조세연)에 따르면 고지현·고창수 조세연 부연구위원은 지난달 말 이같은 내용의 '조세재정브리프 : 조세 및 재정정책이 여성의 출산 후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냈다.
해당 보고서를 살펴보면 여성 경력단절로 인한 개인·사회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추진해온 일·가정 양립 등 재정정책이 실제로 여성 고용 등에 미친 영향을 실증분석했다.
여성 일·가정 양립 정책 지출 규모는 지난 2021년 기준 2조973억원이다. 영유아 양육지원정책 관련 예산은 약 15조2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조세 지원을 통한 현금성 지원제도인 △자녀장려세제 △의료비 공제 △교육비 공제 △자녀세액공제 등의 지출 규모도 지난 2022년 기준 4조원을 웃돌았다.
다만 45세 이상 여성, 남성 그룹에는 이같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효과가 단순히 보육시설 공급과 관련한 해당 지역의 경제적, 재정적, 사회적 여건 변화에 기인한 결과는 아니라는 점을 시사했다.
고지현·고창수 부연구위원은 "양질의 보육시설을 지속해 확대하는 건 여성의 고용 장려와 그에 따른 소득증가, 인적자본 축적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임이랑 빅데이터뉴스 기자 lim625@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