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통신 상장기업 3개 브랜드의 지난 한 달간 빅데이터 평판을 분석했는데, 2021년 4월 24일부터 2021년 5월 24일까지의 통신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1,787,796개를 분석하여 소비자와 브랜드와의 관계를 알아냈다. 지난 4월 통신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64,354,802개와 비교하면 3.99%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통신 상장기업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 CEO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은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알고리즘을 찾아내서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소비자와 브랜드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계분석으로 측정된다.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브랜드평판 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2위, KT ( 대표 구현모 ) 브랜드는 참여지수 7,974,089 미디어지수 2,898,145 소통지수 5,031,743 커뮤니티지수 2,695,307 시장지수 4,438,395 사회공헌지수 251,261 CEO지수 712,57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3,288,940으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24,731,799와 비교하면 5.83% 하락했다.
3위, LG유플러스 ( 대표 하현회 ) 브랜드는 참여지수 1,141,025 미디어지수 703,912 소통지수 1,513,732 커뮤니티지수434,823 시장지수 3,496,016 사회공헌지수 140,287 CEO지수 216,23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429,795로 분석됐다. 지난 4월 브랜드평판지수 7,856,450과 비교하면 5.43% 하락했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