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리트먼트는 샴푸 후에 머리카락의 영양을 위해 모발에 바른 후 씻어내는 모발영양제의 일종이다. 보통, 잦은 염색이나 탈색 혹은 파마로 상한 머리에 영양을 주어 재생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집에서 직접 관리하는 셀프 헤어 케어 트렌드가 보편화되면서 ‘셀프 헤어 케어 카테고리’ 시장 매출이 증가했다. 셀프 헤어 케어를 위한 염모제, 파마약, 트리트먼트 등 다양한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신제품런칭센터와 함께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트리트먼트 브랜드 24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2019년 11월 23일부터 2019년 12월 24일까지의 트리트먼트 브랜드 빅데이터 10,589,195개를 분석했다. 지난 2019년 6월 트리트먼트 브랜드 빅데이터 7,438,692개와 비교하면 42.35%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트리트먼트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트리트먼트 브랜드평가지표에는 신제품런칭센터의 브랜드에 대한 채널 평가도 포함됐다.

트리트먼트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아모스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184,082 소통지수 661,935 커뮤니티지수 524,821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370,838 로 분석됐다. 지난 2019년 6월 브랜드평판지수 743,487보다 84.38% 상승했다.
2위, 미쟝센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70,148 소통지수 745,635 커뮤니티지수 320,727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136,510 로 분석됐다. 지난 2019년 6월 브랜드평판지수 966,453보다 17.60% 상승했다.
3위, 쿤달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107,175 소통지수 473,085 커뮤니티지수 250,340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30,600 로 분석됐다. 지난 2019년 6월 브랜드평판지수 360,621보다 130.33% 상승했다.
4위, 헤어플러스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23,680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438,820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66,848 829,348로 분석됐다. 지난 2019년 6월 브랜드평판지수 543,368보다 52.63% 상승했다.
5위, 려 트리트먼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44,903 소통지수 551,690 커뮤니티지수 98,588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95,181 로 분석됐다. 지난 2019년 6월 브랜드평판지수 435,248보다 59.72%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브랜드의 평판지수를 매달 측정하여 브랜드 평판지수의 변화량을 발표하고 있다. 이번 트리트먼트 브랜드 평판지수는 2019년 11월 23일부터 2019년 12월 24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이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