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제약사의 제품들중 오랜 기간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진 제품중 현재도 생산중인 품목을 대상으로 최근 2년간 포스팅수(정보량=소비자관심도)와 호감도, 해당 제품 포스팅 유저의 성(性)별 등을 분석합니다.
첫번째 동아제약에 이어 이번 두번 째 시리즈에는 임의선정한 종근당의 3개 제품을 대상으로 분석했습니다.이후에는 한미약품, JW중외제약, 동국제약, 대웅제약, ㈜보령, 동화약품(이상 무순) 등의 인지도 높은 제품들을 빅데이터 분석할 예정이며 분석 대상 제약사 제품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것입니다. 또한 보다 다양한 정보 제공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항목도 늘릴 예정입니다.<편집자 주>
지난 한해 종근당(대표 김영주)의 제품 중 일반에 잘 알려진 제품 3개 가운데 생유산균 제품 '락토핏'이 압도적으로 많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락토핏은 여성 소비자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본지 의뢰로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종근당의 대표 제품 3개에 대해 지난 2021년부터 2022년도까지 연도별 온라인 정보량을 빅데이터 분석했다.
빅데이터 분석 제품으로는 △락토핏 △펜잘 △속청 등이다.
종근당의 계열사 종근당건강이 제조판매하고 있는 제품으로 골드, 베베, 키즈, 코어맥스, 이뮨, 맘스, 뷰티 등 20개 가량의 라인업을 가지고 있는 생유산균 락토핏은 2022년 9만4,235건의 포스팅 수를 기록, 지난 2021년 12만8,147건에 비해 3만3,912건 26.46% 감소했다.
종근당이 지난 1984년 출시한 해열진통제로 35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펜잘은 지난 2022년 4,902건의 정보량을 기록, 2021년 6,248건에 비해 1,346건 21.54% 떨어지며 하락세를 보였다.
종근당의 생약 성분 액상소화제로 지난 2021년 속청케어, 속청큐 등을 출시한 속청은 지난 2022년 3,709건으로 2021년 4,318건에 비해 609건 14.10% 떨어졌다.



락토핏은 지난 2021년 긍정률 80.88%, 부정률 2.22%를 기록하며 순호감도가 78.66%로 나타난데 비해 지난 2022년에는 긍정률 62.61%, 부정률 2.71%, 순호감도 59.90%로 1년동안 18.76%P 하락했다.
펜잘은 지난 2021년 긍정률 31.13%, 부정률 24.04%, 순호감도 7.09%를 기록한데 비해 2022년 긍정률 37.49%, 부정률 21.97%, 순호감도 15.52%로 나타나며 8.43%P 상승했다. 펜잘은 3개 제품중 유일하게 지난해에 비해 순호감도가 상승한 품목이다.
속청은 지난 2021년 1년간 긍정률 61.26%, 부정률 8.89%로 순호감도는 52.36%를 기록한데 비해 2022년에는 긍정률 62.36%, 부정률 14.94%로 순호감도 47.43%를 나타내며 4.93%P 하락했다.

성별 관심도는 포스팅 작성자의 성별이 드러난 정보량만을 대상으로 하며, 여성 관심도는 성별 프로필이 드러난 전체 정보량 대비 자신이 여성임을 밝힌 유저의 포스팅 수의 비율을 집계한 것이다.
락토핏은 성별이 드러난 1만1,527건의 포스팅 수 가운데 여성 작성자로 드러난 포스팅이 98.60%를 차지했다.
사실상 락토핏을 애용하는 소비자는 여성이 대부분임을 빅데이터로 보여주고 있다.
펜잘은 217건의 성별 정보량 중 87.10%의 여성 관심도를 기록했다.
속청은 포스팅 작성자의 성별이 드러난 126건의 정보량 중 여성 포스팅 수의 비율이 76.19%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자신의 성별을 밝힌 대한민국 전체 포스팅의 75%가 여성임을 감안할때 속청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관심도는 평균값에 수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효경 빅데이터뉴스 기자 bdchk@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