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연령인구 처음으로 감소…'고령사회' 진입

장선우 기자

2018-08-28 09:46:13

연도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및 고령인구 추이 (자료=통계청)
연도별 유소년인구, 생산연령인구 및 고령인구 추이 (자료=통계청)
[빅데이터뉴스 장선우 기자]
생산연령인구를 나타내는 15세에서 64세 사이 인구가 처음으로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4.2%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이 27일 공개한 ‘2017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생산연령인구인 15~64세 내국인은 2016년 전체 3631만2000명(72.8%)에서 지난해 3619만6000명(72.5%)으로 11만6000명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고 감소세도 가파르다. 통계청은 생산연령인구와 유사한 생산가능인구(15~64세) 장래인구추계에서 2016년 3762만7000명에서 2017년 3762만명으로 7000명 정도 생산가능인구 감소를 예측했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14%를 넘어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고령인구는 2016년 678만명(13.6%)에서 712만명(14.2%)로 증가했다. 고령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면 고령사회로 규정한다. 유엔(UN)은 노인인구 비중이 7~14%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정의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 2000년 고령인구 비중이 7.0%를 기록하며 고령화사회에 진입했는데 불과 17년 만에 다음 단계로 뛰어올랐다. 일본의 경우 24년(1970년~1994년)이 걸린 점을 감안하면 우리사회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된 셈이다.

고령인구의 증가와 출산율 저하에 따른 유소년인구(0~14세) 감소로 노령화지수는 더 커졌다. 유소년인구(0~14세) 100명 대비 고령인구 비중인 노령화지수도 2016년 100.1에서 지난해 107.3으로 7.2 증가했다.

시도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전남이 22%로 가장 높았다. 경북과 전북이 각각 19.0%, 강원은 18.0%에 달했다. 서울의 고령인구는 13.7%였고 세종은 9.3%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장선우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