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통계청이 내놓은 ‘2021년 양곡 소비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양곡년도(2020년 11월 1일~2021년 10월 31일) 가구 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9kg으로 전년보다 1.4% 감소했다. 1인 가구 증가와 서구화된 식생활 등이 지속적인 쌀 소비량 감소의 주요 배경으로 풀이된다.
반면, 제조업(식료품 및 음료) 부문 쌀 소비량은 68만 157톤으로, 전년 대비 4.6%늘었다. 코로나19 이후 내식 비중 확대에 따라 쌀을 원료로 한 가정간편식(HMR) 수요가 늘면서 다양한 쌀가공식품이 소비자들의 ‘밥심’을 채우고 있는 것이다.
◆ 넉넉한 양과 차별화된 맛, ‘오뚜기 컵밥’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2020 가공식품 세분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쌀가공식품 소매점 매출액은 88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 쌀가공식품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것은 즉석밥과 컵밥 등 ‘가공밥’이다. 가공밥은 쌀가공식품 유형별 구입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구입이 증가한 제품군 1위(56.1%)에 올랐다. 쌀가공식품에 대한 선호도 역시 가공밥이 44.1%로 가장 높았다.
‘오뚜기 컵밥’은 메뉴별 고유의 맛을 강화하고 큼직한 건더기를 듬뿍 넣은 것이 특징으로, 현재 덮밥류와 비빔밥류, 전골밥류, 찌개밥, 국밥 등 총 26종의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이 중 쇠고기미역국밥과 황태콩나물 해장국밥, 설렁탕국밥 등은 다양한 간편식 제품을 통해 입증된 오뚜기만의 조미 노하우를 담아 더욱 깊고 진한 국물 맛을 느낄 수 있다.
나아가 ㈜오뚜기는 2020년 컵밥에 포함된 밥의 양이 다소 부족하다는 소비자 의견에 귀 기울여 업계 최초로 컵밥 전 제품의 밥 양을 20% 늘렸다. 이와 동시에 기존보다 길어진 슬라이드 스푼을 동봉해 취식 시 내용물이 손에 묻지 않도록 편의성을 높인 점도 눈에 띈다.
◆ 풍부한 맛과 영양, 간편하게 즐기는 ‘오뚜기 오즈키친 파우치죽’
아플 때 먹는 환자식으로 여겨졌던 ‘죽’도 든든한 한 끼를 책임지는 가정간편식으로 자리매김한지 오래다. ‘2020 가공식품 세분시장 보고서’에 의하면, 2019년 죽류 판매액은 1332억원으로 전년 대비 50.5% 급증했다.
지난 2016년부터 용기죽을 판매해온 ㈜오뚜기는 2019년 ‘오즈키친 파우치죽’ 4종을 출시하며 파우치죽 시장에 뛰어들었다. ‘오즈키친 파우치죽’은 우수한 품종의 쌀과 신선한 원재료를 활용한 프리미엄 죽 제품으로, 전자레인지에 또는 끓는 물에 데우기만 하면 돼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오뚜기는 처음 선보인 △큼직한 전복과 버섯의 향긋한 풍미가 돋보이는 ‘전복죽’ △부드러운 닭고기와 인삼의 향이 어우러지는 ‘영양닭죽’ △달콤한 호박과 밤, 강낭콩이 조화를 이루는 ‘단호박죽’ △찹쌀과 흑미를 넣어 식감을 살린 ‘동지팥죽’ 등에 이어 △송이버섯죽 △버섯불고기죽 △진짬뽕죽 △트러플버섯죽 등으로 파우치죽 라인업을 강화하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 국산 쌀을 옛날 방식 그대로 구워낸 ‘오뚜기 옛날 구수한 누룽지’
어린 시절의 추억을 떠오르게 하는 누룽지는 바쁜 현대인들의 시린 속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아침식사 대용으로 인기다.
㈜오뚜기 ‘옛날 구수한 누룽지’는 갓 지은 밥을 옛날 방식 그대로 무쇠판에 직접 구워내 누룽지 고유의 바삭한 식감과 구수한 맛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100% 국내산 쌀을 사용해 풍부한 맛과 영양을 담아냈으며, 뜨거운 물만 부으면 3~4분 만에 완성돼 캠핑 등 야외활동에서도 손쉽게 조리 가능하다.
㈜오뚜기 관계자는 “가정간편식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다채로운 쌀가공식품들이 간편한 식사 대용이나 영양 간식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수한 품질의 쌀을 활용한 가공식품을 통해 쌀 소비 촉진과 쌀가공식품 시장 확대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준보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