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21년 1월 8일부터 2021년 2월 8일까지의 61개 대기업집단 브랜드 빅데이터 144,595,290개를 분석하여 대기업집단의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사회공헌, 소비자지수를 분석하여 브랜드평판지수를 측정했다. 지난 2020년 1월 브랜드 빅데이터 134,322,381개와 비교하면 7.65% 증가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소셜가치, 사회가치로 분류하고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에서는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 소비자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했다. 브랜드평판 분석한 61개 대기업집단 브랜드평가에는 사회공헌지표와 소비자지표를 중심으로 정성적인 평가를 강화했다. 한국브랜드모니터 소비자위원이 진행한 채널평가도 포함했다.

2위, LG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775,068 소통지수 8,973,347 커뮤니티지수 1,601,073 사회공헌지수 388,994 소비자지수 2,743,56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482,047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11,821,773과 비교하면 22.50% 상승했다.
3위, 롯데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539,645 소통지수 9,020,677 커뮤니티지수 1,415,652 사회공헌지수 422,518 소비자지수 1,174,86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2,573,351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9,489,336과 비교하면 32.50% 상승했다.
4위, SK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860,311 소통지수 5,540,337 커뮤니티지수 1,551,090 사회공헌지수 472,226 소비자지수 1,391,62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9,815,589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8,192,552와 비교하면 19.81% 상승했다.
5위, 현대자동차 브랜드는 미디어지수 450,207 소통지수 3,479,790 커뮤니티지수 377,292 사회공헌지수 172,533 소비자지수 1,975,57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455,400으로 분석됐다. 지난 1월 브랜드평판지수 8,725,286과 비교하면 26.02%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브랜드평판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브랜드 빅데이터를 소비자행동으로 세분화하여 브랜드 평판지수를 파악했다. 이번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61개 대기업집단에 대해서 2021년 1월 8일부터 2021년 2월 8일까지의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2021년 2월 대기업집단 브랜드평판을 분석한 대기업집단 브랜드는 CJ, DB, GS, KCC, KT, KT&G, LG, LS, OCI, SK, SM, 교보생명보험, 금호석유화학, 네이버, 넥슨, 넷마블, 농협, 다우키움, 대림, 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동국제강, 동원, 두산, 롯데, 메리츠금융, 미래에셋, 부영, 삼성, 삼천리, 세아, 셀트리온, 신세계, 아모레퍼시픽, 애경, 에쓰 오일, 영풍, 유진, 이랜드, 중흥건설, 카카오, 코오롱, 태광, 태영, 포스코, 하림, 하이트진로, 한국 GM, 한국타이어, 한국투자금융, 한라, 한솔, 한진, 한진중공업, 한화, 현대백화점, 현대산업개발,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호반건설, 효성 이다.
김수아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