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불합리한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고 의심되는 아파트 단지 등을 비롯해 569곳에 대한 일제 점검에 들어간다고 6일 밝혔다.
점검 대상은 경기도 빅데이터 분석 결과 ‘관리비 위험군’으로 분석된 524개 단지를 비롯해 입주민이 감사를 요청한 5개 단지다. 또 국무조정실 부패척결추진단이 지난해 발표한 외부회계감사에서 부적합하다고 판단된 40곳도 포함됐다.
대상 단지는 고양시가 79곳으로 가장 많고 용인 56곳, 수원 55곳, 성남과 시흥이 41곳씩이다.
점검항목은 ▲관리소 직원 인건비 부당 지출 ▲전기료·수도료·난방비 등 부과 및 집행 ▲장기수선계획에 따른 시설물 관리 ▲잡수입·예비비·각종 충당금 시설 공사 남용 ▲주택관리업자 재계약 ▲잡수입을 통한 관리비 차감 ▲청소·경비 용역 계약 및 감독 등 24개다.

도는 8일부터 다음 달 14일까지 1차 점검을 한 뒤 문제점이 발견되는 단지에 대해 2차 점검에 나선다.
2차 점검에는 6개 T/F팀과 민간전문가가 참여, 5월25일~9월28일까지 분야별 점검을 한다.
최기용 道 공동주택과장은 "이번 일제 점검은 입주민 민원, 시·군 감사요청에 따른 기존 감사방식에 빅데이터 분석을 접목해 속도와 정확성, 효과를 높인 '능동적 감사'로 전환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도는 지난해 외부회계감사 결과 '한정' 의견이 제출된 417개 단지에 대해 올해 말까지 시·군을 통해 자체 감사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6개월동안 ‘재난안전정보센터 연구용역’을 실시했다. 재난 안·정보센터 구축에는 200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재난안전정보센터는 재난안전 대민서비스인 안전대동여지도 서비스 플랫폼과 정책지원시스템, 재난안전 종합관제시스템으로 구축된다.
안전대동여지도는 도민 스스로 재난 사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사업비 12억원을 투자해 재난발생시 반경 이내 주민들에게 재난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타켓형 서비스인 안전대동여지도를 개발해 하반기 선보일 예정이다.
실생활에 필요한 생활행정정보와 정전·단수 등 생활불편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이와 함께 기존 119신고 서비스를 고도화해 신고자의 위치와 재난피해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신고·파악할 수 있도록 ‘쌍방향영상 신고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재난 발생시 도민들에게 소방차·구급차 등 출동상황을 실시간 알려줌으로써 수요자 위주의 재난행정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안전대동여지도 서비스 제공에 이어 2018년까지 재난안전사고 예방·대비·대응을 위한 정책지원시스템과 재난발생시 필요한 정보를 종합 표출하는 재난안전 종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안전 확보를 위해 2018년까지 경기도 빅데이터 재난안전정보센터를 갖출 계획”이라며 “장비는 시스템 구축 뒤 최적의 시기에 구입해 예산낭비가 되지 않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