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이오플로우 주가는 종가보다 3.51% 오른 2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오플로우의 시간외 거래량은 35만8741주이다.
이는 이오플로우가 미국에서 진행 중인 특허소송전에서 여전히 승산이 있다고 밝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오플로우 홈페이지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8일 주주분들께 드리는 글에서 "작금의 상황이 쉽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적극적인 항소 제기와 내부 쇄신을 통해 재기하고자 한다"며 "다시 도전하려는 것도 아래와 같은 이유로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주주분들께서도 잘 아시다시피 이번에 지방법원에서 진행한 본안에서는 영업비밀의 시효(Statute of Limitations)가 핵심 사안 중 하나였다. 이에 당사는 본안이 시작되기 전 약식 판결을 신청하여 원고측에서 시효가 만료된 후 너무 늦게 소송을 제기했다는 판결을 구하고자 하였다"며 "하지만 지방법원에서는 보편적으로 영업비밀 침해 사건에 적용해왔던 시효의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영업비밀과는 무관한 사건에 대해 2010년에 있었던 특정 판례만을 기준으로 적용하였고 이것 위주로만 배심원에게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이어 "당사는 이에 대해 연방(federal)항소법원에 항소심을 제기하고자 한다"며 "주주분들도 기억하시겠지만 올해 상반기 당사와 원고가 영업비밀 가처분 소송을 진행할 때에도 당사는 연방항소법원에 항소심을 제기했다"고 짚었다.
회사는 "연방항소법원의 영업비밀에 대한 전문적이며 법리적인 판단 기준 덕분에 가처분은 당사의 예상보다 더 빨리 해소되었으며, 해당 판결 후 지방 법원의 가처분도 취소된 바 있다"며 "이번 본안에 대해서도 당사는 연방항소법원이 심리할 경우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고 했다.
의료기기 제조기업 이오플로우가 유상증자를 철회했다. 미국에서 진행 중인 특허소송전에서 패소할 가능성이 불거지며 4거래일 연속 주가가 급락한 여파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오플로우는 금융위원회에 유상증자 철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지난 6일 공시했다.
이오플로우는 “(경쟁사) 인슐렛이 제기한 미국 특허권 침해와 부정경쟁에 관한 소송에서 배심원 평결 결과 이오플로우의 영업비밀 침해가 인정됨에 따라 (유상증자가) 기존 주주와 신규 투자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해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했다.
미국 매사추세츠 지방법원에서 진행 중인 이오플로우와 인슐렛과의 소송전에서 배심원들은 인슐렛의 손을 들어줬다.
그러면서 이오플로우가 인슐렛에 영업비밀 침해 손해배상금으로 4억5200만달러(약 6400억원)를 지급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오플로우 자기자본(723억원) 대비 약 9배 규모다.
앞서 인슐렛은 이오플로우를 상대로 지식재산권 침해 및 부정경쟁 위반 소송을 제기했다.
인슐렛은 세계 최초로 일회용 웨어러블 인슐린 펌프인 ‘옴니팟’을 개발했는데, 두 번째로 ‘이오패치’ 개발에 성공한 이오플로우가 영업비밀방어법(DTSA)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판사의 최종 판결이 남아있지만, 배심원 평결이 공개된 직후 이오플로우 주가는 곤두박질쳤다.
코스닥시장에서 이오플로우 주식은 지난 3일 1만960원에 거래를 마쳤지만, 전날 기준 2705원까지 하락했다.
지난 4~6일 3거래일 연속 하한가를 기록했고, 9일에도 28.25% 주가가 내리며 하한가에 가까운 급락세를 보였다.
주가가 급락하면서 이오플로우는 물론 유상증자 주관사와 인수단의 부담이 커진 것도 철회 배경으로 보인다.
이오플로우는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신주 910만주를 1주당 9040원에 발행해 약 823억원을 조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현재 주가 흐름대로면 이오플로우의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는 1차 발행가인 4235원이다. 계획보다 437억원가량 적은 자금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이오플로우 주가가 신주 발행가를 밑돌고 있는 상황에서 무더기 실권주가 발생할 가능성도 컸다.
대표 주관사인 KB증권과 공동 주관사 한양증권, 인수회사 한국투자증권 등이 이를 떠안아야 한다. 이오플로우는 물론 인수단도 유상증자를 철회할 수밖에 없었던 셈이다.
이오플로우는 “인수계약에 따라 대표 주관회사, 공동 주관회사, 인수회사와 상호 협의해 유상증자 철회를 결정했다”고 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