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태웅로직스 주가는 종가보다 1.37% 오른 2960원에 거래를 마쳤다. 태웅로직스의 시간외 거래량은 5514주이다.
올해 상반기에 전년 대비 3배 가까이 뛴 해상 운임이 최근 하락하며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운임이 오르자 선박 공급이 늘면서 해운사 간 운임 경쟁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계 곳곳에서 물류·운송 관련 파업 움직임이 있어 해상 운임이 다시 뛸 가능성도 있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글로벌 해상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주보다 236.80포인트(p) 떨어진 2726.58로 나타났다. 지난주 석 달 만에 3000선 밑으로 하락한 이후 큰 낙폭을 기록했다.
미국 동부 연안 운임은 전주 대비 1FEU(12m 컨테이너 1개 크기)당 751달러 내린 8546달러, 서부 연안은 1FEU당 626달러 하락한 5955달러로 나타났다.
유럽과 중동 항로도 각각 전주 대비 1TEU당 210달러, 170달러 떨어진 4400달러, 1969달러를 기록했다. 인도-북미 항로도 선복 공급이 증가하면서 컨테이너 운임이 약세다.
세계 곳곳에서 물류·운송 파업 우려가 커지고 있는 점은 변수다. 중요 지역 물류가 멈추면 전반적인 비용이 증가한다.
캐나다 2대 국영 철도 회사인 캐네디언내셔널(CN)과 캐네디언퍼시픽(CP) 노사는 지난해 말로 만료된 노동협약을 갱신하기 위해 장기간 협상 중이다.
노사 교섭 난항으로 노동조합은 지난 23일(현지시각) 파업을, 사측은 직장폐쇄를 선언했다. 캐나다 노사관계위원회(CIRB)의 복귀 명령으로 업무가 재개됐으나 노사 양측이 법적조치를 예고하고 있어 노조 파업이 재점화할 가능성이 크다. 캐나다 철도는 캐나다와 미국, 멕시코를 잇는 주요 공급망이다.
미국 동부 항만 노조인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와 미국해양협회(USMX)의 협상도 결렬 위기다. ILA는 임금 문제와 함께 항만 자동화 시스템 도입에도 반대하고 있다.
ILA와 USMX는 9월 말 만료하는 노사 협정을 갱신하는 협상을 진행 중인데, ILA는 새 협정에 고용 안정 내용이 포함되지 않으면 9월 말부터 파업하겠다는 입장이다.
ILA는 미 동북부 메인주부터 걸프만 텍사스주까지 미국 대서양 연안 14개 항구에서 일하는 근로자 8만5000명이 가입된 북미 최대 노조다.
ILA가 다음 달 파업에 돌입하면 1977년 이후 47년만이다. 2022~2023년 미국 서부항만노조는 사측과의 갈등으로 태업을 펼쳤는데, 당시 120억달러(약 16조404억원) 이상의 무역이 중단됐다. 이번 파업은 그보다 영향이 더 클 것이란 전망이다.
미·중 관계 악화로 부각된 인도 해운 업계도 파업으로 흔들리고 있다. 인도 12개 항만 근로자로 구성된 6개 노동조합은 28일(현지시각)부로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인도 항만 노사는 31개월 동안 임금 협상을 펼쳤는데,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고용 안정을 해치는 인도 정부의 항만 민영화 추진에도 반대하고 있다.
이 소식에 태웅로직스와 한솔로지스틱스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태웅로직스는 국제물류주선업을 영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SCFI에 따라 매출액이 변동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투자자들이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솔로지스틱스는 컨테이너운송사업·트럭운송사업·해상 및 항공 포워딩사업·W&D·물류시스템 및 산업별 물류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