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6일 거래소는 장 마감후 코아스에 대해 "다음 종목은 현재 투자경고종목으로서 주가가 추가 상승할 경우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으니, 투자에 주의하시기 바란다"고 공시했다.
엑스큐어는 29일의 종가가 지난 25일 종가 대비 40% 이상 상승하고 투자경고종목 지정전일 종가보다 높은 경우 30일(1일간)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앞서 한국거래소는 코아스를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했다.
코아스의 투자경고종목 지정 사유는 ▲10일의 종가가 5일전의 종가보다 60% 이상 상승하고 ▲10일의 종가가 최근 15일 종가중 최고가이며 ▲15일간의 주가상승률이 같은기간 주가지수 상승률의 5배 이상이기 때문이다.
코아스는 투자경고종목 지정일 이후 2일동안 40%이상 상승하고 투자경고종목 지정전일 종가보다 높을 경우 1회에 한하여 매매거래가 정지될수 있다.
한국거래소는 주가가 일정기간 급등하는 등 투자유의가 필요한 종목은 '투자주의종목→투자경고종목→투자위험종목' 단계로 시장경보종목으로 지정한다.
투자경고·위험종목 단계에서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최근 코아스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코아스의 유상증자 대금 납입이 완료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코스피 상장사 코아스는 운영자금 등 약 10억원을 조달하고자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지난 8일 공시했다.
주당 500원에 신주 199만9천999주(보통주)가 발행된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김형우(20만주), 유임규(20만주) 등이다.
유상증자의 대금 10억 원은 전일에 납부가 완료됐다. 회사 측은 유증 목적에 관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운영자금"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코아스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코아스의 최대주주 변경 소식이 주가를 연일 밀어올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코아스는 지난 8일 최대주주 노재근씨가 66억4236만원 규모의 보유주식 221억4119주(전체의 7.16%)를 백운조합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주식인도일은 9월11일, 내년 12월31일 두 차례이며 첫 인도일에 지분 1.77%를 넘긴 뒤 최종적으로는 7.16%를 백운조합이 보유하게 된다.
코아스는 9월6일 오전 10시 회사 5층 회의실에서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정관 변경, 신규 임원 선임 등이 주요 안건이다.
코아스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90% 비율의 감자도 결정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코아스는 지난달 21일 장 마감 후인 오후 4시6분 결손 보전에 의한 재무구조 개선 목적으로 90% 비율의 감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감자 기준일은 2024년 9월9일, 신주 상장 예정일은 2024년 10월4일이다. 감자가 완료되면 발행 주식 수는 3090만7210주에서 309만721주로 감소한다. 자본금은 154억5300만원에서 15억45만원으로 변경될 예정이다.
무상감자를 하면 주주들이 보유한 주식은 감자 비율만큼 줄어든다. 자본금은 줄어들지만 주주에게는 보상을 지급하지 않아 자산 총액은 변함이 없다. 통상적으로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기업들이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감자를 단행한다.
코아스가 지난 5월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코아스의 부채는 606억2051만원으로 자본금 대비 392.2% 수준이다. 결손금은 123억2364만원, 자본총계는 112억5388만원으로 자본잠식이 진행되고 있다.
올 3월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자본총계/자본금 비율은 65.8%로 112.3%였던 직전 사업연도에 비해 46.5% 감소했다.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인 ROE는 2021년 -25.16%에서 2022년에 -10.57%로 감소했다가 지난해 -49.95%로 악화했다.
지난달 21일 감자 결정 공시 이후 코아스는 24일 전 거래일 대비 24.59% 하락한 364원으로 52주 최저가를 갱신하며 장을 마감했다.
주당 액면가 500원에 비해 27.2% 하락한 금액이다. 소액주주들 사이에서는 회사 경영이 지속 불가능하다는 '런' 시그널이라며 소액이라도 출금해야 한다는 투자금 회수 의견도 나오고 있다.
코아스의 자본잠식 위험 시그널은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 왔다. 영업손실은 2020년 21억원에서 2021년 47억원으로 불어났다. 2022년 7억원까지 감소했으나 2023년 30억원으로 커지면서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매출은 2020년 892억원에서 2021년 1108억원으로 증가했다가 2022년 979억원, 2023년 737억원으로 3년 연속 하락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2022년 326.66%에서 2023년 549.42%로 커졌다.
1992년 7월 설립된 코아스는 사무용 가구를 제조해 주로 관공서, 기업 등 B2B(기업 간 거래)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해왔다. 2021년 이전에는 퍼시스에 이어 2위 자리를 고수해오다 2022년 현대리바트에 밀려 3위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하도급 갑질'로 과징금 1억7000만원을 부과받았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