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한국거래소 따르면 지난 20일 툴젠은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로 발행된 신주 1만700주가 이날 상장된다고 공시했다.
툴젠 주식매수선택권 행사가액은 2만9450원이다.
이번 추가 상장으로 툴젠의 상장주식 총수는 794만958주로 늘어난다.
향후 기업가치가 상승할 경우 이에 기여한 임직원에게 기업가치의 증가분을 분배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보상수단이다.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방식은 신주발행 교부, 자기주식 교부, 차액(시가-행사가격)의 현금 또는 자기주식 교부 등 4가지가 있으며, 부여한도는 상장법인의 경우 발행주식총수의 15%(주주총회 특별결의로 부여할 경우) 이내이다.
행사가격은 시가와 액면가 중에서 높은 금액 이상으로서 부여주체가 결정할 수 있으며, 행사기간은 정관에서 정하는 기간으로서 원칙적으로 부여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재직한 경우에만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주식매수선택권이 행사되면서 새로운 주식이 발행되는 경우 기존 주주의 지분이 희석되고 매물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만큼 기존 주주에게는 악재로 꼽힌다.
한편 툴젠이 유전자 가위 기술인 크리스퍼-캐스9 기술과 관련해 특허권 분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툴젠은 유전자교정 플랫폼 기술의 원천특허를 기반으로 특허수익화 사업 및 유전자교정 기술을 적용한 치료제 및 동식물 관련 제품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유전자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도구인 유전자가위의 발명과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툴젠은 유전자가위 기술을 바탕으로 희귀 유전 질환 샤크로마리투스병 등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오는 2025년 인체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툴젠은 미국에서 CVC그룹, 브로드연구원과 크리스퍼 원천 기술과 관련해 특허분쟁을 겪고 있다. 툴젠은 이미 CVC그룹, 브로드연구원과의 저촉심사 1단계에서 승리했다. 이후 CVC그룹과 브로드연구원 간의 저촉심사에서 승리한 쪽과 2차 저촉심사를 갖게 된다.
오의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앞서 리포트를 내고 “크리스퍼-캐스9 기술에 대한 특허권이 아직 불명확하지만 툴젠에게 선출원자(시니어 파티) 자격이 부여됐다”며 “특허권 분쟁서 승기는 툴젠에 있다”고 바라봤다.
툴젠은 현재 미국에서 CVC그룹과 브로드연구소를 포함하는 3자간의 특허 우선권을 두고 특허재판소(PTAB)에서 특허권 저촉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심사 1단계가 끝난 상황으로 여기에서 툴젠에 선출원자 자격이 부여됐다. 일반적으로 선출원자 자격을 받으면 특허권자로 인정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CVC그룹과 브로드연구소가 별도로 진행하고 있는 특허분쟁이 있어 이 분쟁이 마무리되면 툴젠과 특허권 심사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됐다.
오 연구원은 “분쟁 과정에서 선출원자로 인정받지 못한 측이 특허 우선권을 증명할 책임이 있어 툴젠에게 유리한 상태로 심사가 진행될 것”이라며 “심사에는 통상 1년에서 1년 반 정도가 소요되는데 카스게비의 안정적 상업화를 위해서 심사 결과 확인 이전에 특허권 합의가 진행될 가능성도 높다”고 내다봤다.
카스게비는 지난해 12월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허가를 받은 낫형적혈구병과 관련한 유전자 치료제다.
오 연구원은 “카스게비 출시 이후 툴젠 주가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특허 분쟁이 툴젠에 유리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과 신약 출시로 특허권 합의에 대한 필요가 증가해 장기적 관점에서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