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위메이드 주가는 종가보다 4.43% 내린 4만5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위메이드의 시간외 거래량은 7만3381주이다.
이는 온라인 게임 '나이트 크로우'가 게임 내 아이템의 확률을 조작했다는 의혹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조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날 경기도 성남시 위메이드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나이트 크로우 아이템 확률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나이트 크로우 운영진은 확률형 아이템 정보공개 의무화 법안 시행을 앞둔 지난달 29일 공지사항을 통해 "특정 확률 아이템 1종에 대한 웹사이트 내 확률 정보가 실제 확률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문제가 발생한 확률형 아이템은 캐릭터 성능 강화에 쓰이는 재료를 지급하는 '조화의 찬란한 원소 추출' 상품이었다.
운영진은 이 중 희귀도가 가장 높은 전설 등급 아이템의 획득 확률은 0.0198%에서 0.01%로, 영웅 등급 아이템의 획득 확률은 1%에서 0.32%로, 희귀 등급 아이템의 획득 확률은 7%에서 3.97%로 각각 정정했다.
실제 아이템 획득 확률이 기재된 확률의 절반 또는 3분의 1에 불과했다.
반면 가치가 가장 낮은 아이템은 획득률이 91.9802%에서 95.7%로 정정돼 획득률이 실제보다 더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진은 "확률 정보 등록 시의 실수로 인한 것"이라고 밝혔지만, 공정위는 매출을 올리기 위한 게임사의 의도적인 확률 조작이 있었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에 나섰다.
확률 수정 공시가 불러일으킨 조작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온라인 게임 '라그나로크 온라인(라그나로크)' 역시 지난달 공지를 통해 일부 아이템의 확률이 잘못 표시돼있었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이날 그라비티에 대해서도 현장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밖에도 웹젠의 '뮤 아크엔젤' 또한 특정 횟수 뽑기 시도 전까지는 획득 확률이 0%로 설정된 '바닥 시스템'이 존재하던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