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케이엔솔 주가는 종가보다 1.97% 내린 2민23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케이엔솔의 시간외 거래량은 4만5185주이다.
이는 한국거래소가 케이엔솔을 투자주의종목에 지정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일 거래소는 장 마감 후 케이엔솔에 대해 "다음 종목은 15일(1일간) 투자주의종목으로 지정되니 투자에 주의하시기 바란다"고 공시했다.
한국거래소는 주가가 일정기간 급등하는 등 투자유의가 필요한 종목은 '투자주의종목→투자경고종목→투자위험종목' 단계로 시장경보종목으로 지정한다.
투자경고·위험종목 단계에서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최근 케이엔솔 주가는 강세를 이어왔다. 엔비디아가 액침냉각으로 간다는 외신 발표에 액침냉각사인 케이엔솔이 수혜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는 스탠포드에서 열린 '2024 SIEPR 경제 서밋'에서 자세한 내용을 생략했지만, 이달 18일부터 회사의 개발자 콘퍼런스(GTC)에서 새로운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도에 따르면 델의 CEO는 실적 발표에서 곧 출시될 엔비디아 B100 GPU의 열 설계점(TDP)이 H100의 700W에서 1kW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직접적인 액체 냉각을 필요로 하진 않지만, B200과 함께 내년에 분명히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액침냉각이 주목받는 이유는 고성능 서버의 등장에 따른 전력 수요의 확대다. 대규모 연산을 담당하는 AI(인공지능) 서버는 전력 사용량이 많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공랭식 냉각만으로 열을 식히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공랭식 냉각은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규모를 더 확대하기에도 부담이 크다.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전체 전력의 40% 이상이 냉각시스템에 투입되고 있다.
한편 케이엔솔은 글로벌 1위 기업인 스페인에 본사를 둔 Submer사와 협력해 국내 이머전쿨링시장에 진출한 액침냉각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케이엔솔이 선택한 이머전쿨링시스템은 싱글 페이즈(Single phase) 이머전쿨링으로, 효율(PUE)은 Two phase보다 다소 낮지만 용액의 증발량이 50℃로 1년 동안 운전했을 때 1.6~1.9리터로 매우 미비하며 유지보수 포인트가 적어 경제적으로 알려졌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