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신스틸 주가는 종가보다 1.6% 오른 3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신스틸의 시간외 거래량은 2만8994주이다.
이는 SG가 우크라이나 도로복구에 10년간 4조원 규모에 달하는 아스콘을 공급한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일 한 매체는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폐허가 된 우크라이나 전역의 도로 복구에 에스지이(SG)가 만든 친환경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이 깔린다고 단독 보도했다.
또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와 남부 미콜라이우를 비롯해 현지 아스콘 공장 3~4곳을 인수하고,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에코스틸아스콘(제강슬래그아스콘)을 만들어 도로 포장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와 남부 미콜라이우를 비롯해 현지 아스콘 공장 3~4곳을 인수하고,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에코스틸아스콘(제강슬래그아스콘)을 만들어 도로 포장에 나설 계획이다.
약 2000조원을 웃돌 것으로 평가되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은 '제2의 마셜플랜'으로도 불린다.
증권가에선 한국 기업이 참여할 기회를 520억달러(약 69조원)로 잠정 추산하기도 한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한국 정부에 제안한 200억달러(약 26조원) 규모의 5000개 재건 사업과 민간 차원에서 추진 중인 320억달러(약 43조원, SMR 소형 원전·공항 재건·건설기계·철도차량·IT 분야 등) 규모의 10개 사업을 합친 것이다.
이 소식에 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이 커지면서 재건 관련주로 분류되는 종목들이 상승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집계된 우크라이나 도로, 교량 피해금액은 40조원 수준이다. 이를 복구하기 위해선 3조원 가량의 철강재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유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건설생산 투입구조 및 완성공사원가통계를 참고했을 때, 토목공사에서 재료비 비중은 15%, 건축에서는 26% 정도”라며 "우크라이나 도로, 교량 등을 복구하기 위해선 3조원 가량의 철강재가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우크라이나의 주택·건물 등 건설의 피해규모는 100조원으로 추산되며 복구할 때 최소 26조원의 철강재가 소모될 것”이라며 “인프라, 건설만 따져도 우크라이나 재건에 29~30조원의 철강재가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신스틸의 핵심 사업은 철강코일센터(Steel Service Center, SSC) 비즈니스다. 철강코일센터는 철강 제조업체로부터 컬러강판이나 냉연판재를 사와 이를 가전제품 제조사 등이 원하는 규격대로 가공하는 사업이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