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켐, 투자경고종목 지정…매매거래 정지 가능성↑

김준형 기자

2024-02-14 07:15:01

엔켐, 투자경고종목 지정…매매거래 정지 가능성↑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엔켐이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됐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거래소는 엔켐에 대해 "다음 종목은 주가급등에 따라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되며, (주가) 추가 상승시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으므로 투자에 주의하시기 바란다"고 공시했다.

엔켐의 투자경고종목 지정 사유는 ▲13일의 종가가 15일전의 종가보다 100% 이상 상승하고 ▲13일의 종가가 최근 15일 종가중 최고가이며 ▲5일간의 주가상승률이 같은기간 종합주가지수 상승률의 3배 이상이기 때문이다.

엔켐은 투자경고종목 지정일 이후 2일동안 40%이상 상승하고 투자경고종목 지정전일 종가보다 높을 경우 1회에 한하여 매매거래가 정지될수 있다.
한국거래소는 주가가 일정기간 급등하는 등 투자유의가 필요한 종목은 '투자주의종목→투자경고종목→투자위험종목' 단계로 시장경보종목으로 지정한다.

투자경고·위험종목 단계에서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최근 엔켐의 주가는 강세를 보였다. 엔켐은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K-배터리 기업을 비롯해 북미시장에 진출한 다양한 글로벌 탑티어 고객들을 대상으로 제품 공급을 연이어 확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엔켐은 2019년 현지 법인 '엔켐아메리카'를 설립한 이래 과감한 '선제적 투자' 전략을 이어오며 북미 이차전지 시장에서 핵심 소재 기업으로 자리잡는 데 성공했다. 2020년 조지아에 소재한 도요타 공장 부지를 매입한 엔켐은 2년 만에 북미 제1공장을 완공했다.

이를 통해 엔켐 당시 국내 업체 중 유일하게 대규모 '현지생산-현지 공급' 체계를 구축했다. 엔켐은 기존 대규모 공장 운영 노하우와 즉시 대응 가능한 대규모 생산능력(CAPA)을 바탕으로, 현재 북미시장에서 전해액 공급을 주도하고 있다

엔켐의 조지아 공장은 연간 4만t 규모의 전해액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북미에 있는 전해액 공장 중 가장 큰 규모다. 부지 크기만 해도 여의도 전체 면적의 4분의 1인 약 35만평(114만1000㎡)에 달한다. 연간 2만톤 규모의 NMP 공장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엔켐은 올해 말까지 1차적으로 조지아 공장을 연간 10만톤 규모로 증설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말까지 총 20만톤 규모로 생산능력을 확대해 향후 서부에 건설을 추진 중인 제2공장이 완공되기 전까지 북미 전역을 커버할 방침이다.

엔켐 관계자는 "엔켐의 조지아 공장은 엔켐이 북미시장에서 초기에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었던 가장 큰 경쟁력"이라며 "아직까지도 조지아 공장은 북미시장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대규모 전해액 공장으로 강력한 진입장벽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조지아 공장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해외우려기업(FEOC) 세부 지침 공개 이후 시장에서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며 "이미 확보된 대규모 증설 가능 부지와 자동화 공정, 독보적인 대규모 공장 운용능력은 비교할 수 없는 엔켐의 큰 자산"이라고 강조했다.

엔켐의 조지아 공장은 지난해 3월 SK온 조지아 공장에 전해액 초도 납품을 시작으로 같은 해 8월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의 오하이오 공장에도 제품 공급을 개시했다.

엔켐은 올해 네바다주에 소재한 일본 배터리 기업과 SK온과 포드의 합작법인 '블루오벌(켄터키주)', 얼티엄셀즈의 제2공장(테네시주)에 제품 공급을 준비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향후 엔켐은 메인 공장인 조지아 공장을 중심으로 동부와 서부, 북부 지역까지 북미 시장 공략의 폭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는 것이 목표"라며 "현재 추진 중인 테네시 공장 외에도 캐나다 온타리오 지역에 추가 전해액 공장을 짓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