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9일 시간외 매매에서 동방 주가는 종가보다 6.13% 오른 3030원에 거래를 마쳤다. 동방의 시간외 거래량은 107만5683주이다.
이는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이 촉발한 중동발 글로벌 물류적체 현상으로 인해 해운 운임이 한달 새 두배 넘게 뛰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홍해 리스크가 장기화 양상을 띠며 코로나19로 물류특수를 누린 지난 2022년이 재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SCFI는 지난주 309.38p가 한번에 오르며 2022년 9월 이후 65주 만에 2000선에 진입했다. 19일 기준 유럽노선은 1TEU(6m 컨테이너 1개)당 3030달러, 지중해가 4067달러, 중동이 1982달러로 한달만에 2배 가까이 늘었다.
이는 주요 해상 무역로인 홍해에서 예멘 후티 반군의 민간 선박 공격과 이에 미국·영국 연합군의 대응이 이어지면서 불안정성이 심화한 영향으로 보인다.
긴장 고조에 스위스의 MSC와 덴마크의 머스크 등 해운사들이 홍해 항로에서 철수해 희망봉으로 우회하면서 해상 운임비는 급등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희망봉 우회로 인한 운항 거리 확대가 선박의 실질 공급 감소로 이어지며 당분간 운임 강세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중국 춘절 연휴(2월10일~17일)를 앞두고 선적 물량이 집중되며 물류난이 가중됐다. 중국 연휴 기간 중국 기업이나 공장이 멈추며 전 세계적인 물동량이 줄기 때문에 화주는 미리 선박을 확보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운사들이 기본운임인상(GRI)이나 성수기할증료(PSS)를 빠르게 부과하며 단기 운임이 급등하게 됐다.
한편 동방은 주요 항만 및 물류거점을 통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초중량물 운송ㆍ설치와 3자물류, 컨테이너터미널, 물류센터 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수혜주로 꼽히면서 투자자들이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