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8일 시간외 매매에서 삼화콘덴서 주가는 종가보다 1.92% 오른 3만9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삼화콘덴서의 시간외 거래량은 1751주이다.
삼성전기와 삼화콘덴서, 아모텍과 같은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업체들의 부품 재고조정이 어느 정도 일단락된 것으로 추정됐다.
고의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혹독한 시기를 거쳐 MLCC 업체들의 지표도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기의 전체 매출에서 MLCC 비중은 약 40%에 이른다.
하반기 IT 제품 수요에 대한 확신은 여전히 떨어진다.
중국의 스마트폰, PC 생산량은 여전히 바닥권에 머물러 있으며 중저가 라인업을 위주로 개선되던 TV 생산량 역시 반락했다.
다만 부품 재고조정은 일단락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IT 제품에 대한 재고조정 이상으로 부품에 대한 재고조정이 강하게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MLCC는 2022년 상반기 이후 약 1년6개월의 재고조정 기간을 거쳤다.
삼성전기는 앞서 MLCC 보유일수가 35일로 줄었다고 언급했다. 보통 40일을 적정 보유일수로 본다.
수요 침체가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고객사들의 주문 역시 보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반기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대량 주문보다는 실수요에 기반한 스팟성 주문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보유재고를 조금이라도 더 소진하기 위한 MLCC 업체들의 가격 프로모션도 일부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보유재고도 낮아졌고 스팟성 오더가 지속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가 전방의 재고도 줄었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IT 제품 수요 개선이 불확실함에도 MLCC 업체들의 가동률이 이전처럼 크게 조정받을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고 연구원은 “IT용 MLCC의 바닥이 확인된 것이라면 그 다음은 전장용 MLCC를 기대해볼 수 있다”며 “2024년은 전장을 중심으로 한 전체적인 외형성장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