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7일 시간외 매매에서 위더스제약 주가는 종가보다 4.78% 오른 1만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위더스제약의 시간외 거래량은 7만7768주이다.
이는 국내에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환자가 급등하면서 유행 위험이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질병관리청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입원 환자가 최근 4주간 2배 증가하는 등 소아를 중심으로 유행하고 있다며 개인위생에 철저해달라고 17일 당부했다.
지난달 15일부터 이달 11일까지 4주간 입원 환자는 62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96명을 크게 웃돌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8년과 2019년 각각의 같은 기간 환자 수 770명과 2천333명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이달 둘째 주 기준 입원환자 226명을 연령별로 보면 1∼12세 사이 소아와 아동이 180명으로 79.6%를 차지한다.
세부적으로는 7∼12세가 111명(49.1%)으로 가장 많고, 1∼6세 69명(30.5%), 19∼49세 17명(7.5%), 13∼18세 14명(6.2%), 65세 이상 7명(3.1%), 0세 4명(1.8%), 50∼62세 4명(1.8%) 순이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국내에서는 3∼4년 주기로 유행한다.
2019년에 1만3천479명, 2015년에 1만2천358명의 환자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으로 입원했다.
증상은 열, 두통, 콧물, 인후통 등으로 감기와 비슷하나, 약 3주가량 지속해 대개 일주일 정도 앓는 감기와 차이가 있다. 인플루엔자나 다른 호흡기 감염증과 함께 걸리면 일부 중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병의원에서 조기에 진단받고 치료를 받는 게 좋다.
환자의 기침, 콧물 등 호흡기 비말(침방울) 또는 환자와의 직접 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다. 가족이 함께 생활하는 가정이나 집단이 생활하는 보육시설, 기숙사 등에서 확산하기 쉬우므로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등교와 등원을 자제하고 집에서 쉬는 게 권고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예방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올바른 손 씻기와 기침 예절을 준수해달라"고 밝혔다.
이같은 소식에 위더스제약이 시장에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다. 위더스제약이 생산하는 '위더스레보플록사신정500밀리그램'에 마이코플라스마 유효 균종이 포함돼 있다고 알려지면서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