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 주가 급등…암종 치료효과 예측 연구 결과 촉각

김준형 기자

2023-11-03 07:21:30

루닛, 주가 급등…암종 치료효과 예측 연구 결과 촉각
[빅데이터뉴스 김준형 기자] 루닛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루닛 주가는 종가보다 1.92% 오른 15만9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루닛의 시간외 거래량은 1만5407주이다.

루닛은 1~5일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리는 '2023 미국면역항암학회'(SITC)에서 인공지능(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비소세포폐암 등 여러 암종의 치료효과 예측 연구 결과 6건을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2일 밝혔다.

루닛은 비소세포폐암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변이 환자 가운데 표적항암요법인 TKI 치료 후 내성이 생긴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항암요법의 치료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종양침윤림프구(TIL) 분포 분석 연구를 발표한다.
연구팀은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 76명의 TKI 치료 전후의 TIL 분포를 평가하고, 그 분포 정도에 따라 면역활성·면역결핍·면역제외 등 3가지 면역표현형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루닛 스코프가 분류한 면역활성 환자군이 면역결핍 환자군에 비해 면역항암요법에 대해 더 높은 전체 반응률(ORR, 40.0% 대 7.5%)과 무진행 생존기간(PFS, 4.1개월 대 1.4개월)을 나타냈다. 이는 EGFR 변이에 대한 표적항암제 치료 후 내성이 생긴 환자에게 면역항암제 후속 치료가 유의미한 것을 입증한 결과다.

다음 연구에서는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삼중음성 유방암(TNBC)과 TIL 분포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삼중음성 유방암의 6가지 분자 아형(유전자 발현 패턴) 중 '면역조절(IM) 아형'에서 TIL 분포가 다른 유형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삼중음성 유방암에서 면역항암제 치료를 결정할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22개 종양 유형 데이터를 분석해, 여러 암종에서 유전자 발현과 질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메틸화'(Methylation)의 이상 정도가 TIL 밀도와 역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루닛 스코프의 면역표현형 점수로 메틸화 이상 정도를 산출, 메틸화 이상이 높은 면역 아형에서는 TIL 침윤이 낮게, 메틸화 정도 감소 시 TIL 침윤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암의 진행 및 면역 반응을 메틸화의 정도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루닛은 종양파편화 클러스터와 종양미세환경의 면역 환경 간 연관성을 발표하며, AI로 종양과 주변의 '암 관련 섬유세포'(Fibroblast) 분포도 분석했다. 그 결과, 췌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담관암, 폐암에서 종양단편화지수(이하 TFI)의 비율은 각각 85.2%, 67.2%, 64.4%, 52.8%, 39.9%로 나타났다. 암 증식 시 염증 유발 유전자인 IFNG, IL1A, IL17A의 발현은 고TFI 환자군이 저TFI 환자군에 비해 낮았다. 이는 TFI 비율을 통해 환자의 면역 반응과 암 종양의 전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음을 뜻한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지난해 SITC에서 3편의 연구 초록 발표에 이어 올해는 보다 다양한 암종으로 연구를 확장한 결과, 학회로부터 6편의 연구를 채택받고 발표하게 됐다"며 "면역항암 분야를 대표하는 학회로 떠오른 SITC 학회 참석을 통해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의 가치를 지속 입증하는 동시에 전 세계 의료 관계자들과의 다양한 협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ITC는 1984년에 설립된 이래로 현재 전 세계 63개국, 약 4600명 이상의 과학자, 연구자, 임상의들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SITC는 암 연구 및 암 환자 치료라는 공통의 목표를 바탕으로 면역항암치료법의 발전과 개발을 위해 매년 학술대회를 주최하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