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포스코엠텍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3.32% 오른 3만5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계열사의 자원개발 사업이 호조를 보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 텍사스주 토지관리국이 주관하는 탄소 포집·저장(CCS) 사업 국제입찰에서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스페인 렙솔, 미국 카본버트, 일본 미쓰이 미국법인 등 글로벌 에너지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입찰에 참여했다. 지분은 10%다.
사업 대상 지역은 텍사스주 코퍼스 크리스티 인근 해상 578㎢로 서울시 면적과 비슷한 수준이다. 컨소시엄은 저장소 평가를 진행한 뒤 개발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저장할 수 있는 탄소 용량은 6억t 이상으로 예상된다. 이는 우리나라의 연간 탄소 배출량에 달하는 규모라고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개발 가능성, 사업의 용이성, 정책과 산업 측면 등에서 미국 텍사스 연안이 CCS 사업의 최적 입지라고 평가하고 있다.
텍사스 연안은 이미 수많은 지질 데이터가 축적된 지역으로, 이를 토대로 이산화탄소 저장이 쉬운 지역을 선택했기 때문에 개발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책·산업 측면에서도 텍사스 연안 탄소저장소 개발은 유리한 면이 있다.
우선 미국 정부가 지난해 제정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탄소 감축 기업에 t당 최대 85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제도적으로 CCS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미국은 전 세계에서 CCS 사업이 가장 활발한 데다, 현재까지 탄소 배출 감축만으로 직접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로 꼽힌다.
텍사스 연안에는 발전소를 비롯해 시멘트, 석유화학, 가스 정제 등 다양한 배출원이 밀집돼 있고, 다수의 원유 가스 파이프라인이 조성돼 있어 탄소 포집이 용이하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달 중 미국에 신규회사 '포스코인터내셔널 CCS USA LLC'를 설립하고, 이번 사업 외에도 향후 추가 CCS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