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포스코엠텍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3.8% 오른 3만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포스코가 총 1조원을 투자한 광양제철소 전기차용 전기강판 공장을 오는 10월말 본격 가동한다. 1단계 준공으로 무방향성 전기강판 연산 15만t을 생산한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두께 0.1~0.3㎜의 초박막으로 고난도 기술이 집약된 '강판의 꽃'이다. 전기차 구동모터의 핵심 소재로 쓰이는데 예상 수요가 폭발적이다.
포스코는 광양제철소 무방향성 전기강판 공장 1단계 생산라인을 내달 말에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총 2단계(30만t) 중 1단계는 연산 15만t 규모다. 포스코가 무방향성 전기강판 신공장을 가동하는 것은 포항제철소 공장(10만t) 준공이후 17년 만이다. 국내에선 포스코만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생산한다.
포스코의 무방향성 전기강판 본격 생산은 상징성이 크다. 포스코가 1979년 전기강판을 첫 생산한 지 44년 만에 최대 규모인 1조원 투자의 결실이라는 점에서다. 포항 공장 준공이후 17년 만에 가동이다. 포스코가 생산하는 고효율 무방향성 전기강판 제품명은 '하이퍼 엔오(Hyper NO)'다.
전기강판은 품질·생산 안정화에 상당한 기술이 요구된다. 부품 경량화 및 고효율을 위해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면서 품질을 유지하는 게 핵심기술이다. 강판 두께가 얇을수록 에너지 손실(철손 Core loss)이 낮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적은 양의 전기로도 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재 기술로는 두께가 0.2㎜ 이하면 고효율 전기강판이다. 포항 공장에선 0.15㎜ 강판을 생산한다.
포스코는 지난 40여년간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전기강판 기술·생산 노하우를 쌓아왔다. 양산 기술력은 △성분 및 공정 컨트롤 △강판의 두께 및 균질성 △완벽한 절연 코팅 등 3박자가 맞아야 한다.
이번에 가동하는 광양 생산라인에는 최신 설비가 구축됐다. 이를 토대로 포스코는 최대 0.1㎜ 두께의 고난도 전기강판을 처음 상용화할 계획이다.
광양제철소 2단계 생산라인은 내년 10월 준공된다. 1·2단계 라인이 모두 가동하면 포항제철소(10만t)와 합쳐 연간 40만t의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생산하게 된다. 이는 전기차 500만대의 구동모터 철심을 제조할 수 있는 물량이다. 포스코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부품사)에 전기강판을 공급한다.
포스코는 국내외 전기강판 100만t 생산이 목표다.
이를 위해 광양에 증설 투자를 적극 추진 중이다. 또 수출 규제 및 수요 폭증에 대응해 완성차 수요처가 있는 북미 지역에 전기강판 생산공장을 새로 건설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