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한농화성 주가는 종가보다 4.09% 오른 1만629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농화성의 시간외 거래량은 2만1994주이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이차전지 음극재 핵심소재인 ‘흑연’의 국산화정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현재 흑연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흑연은 이미 국내 일부지역에서 과거 생산이력과 매장이 확인된 바 있다. 하지만 이를 이차전지 음극재용 소재로 개발을 위해서는 정확한 광량 산정과 효율적인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사업의 주관연구기관인 보민글로벌의 이동권 연구소장은 "현재 추진 중인 연구개발을 통해 특정 국가에 편중된 이차전지 원료의 공급이 국제관계의 긴장과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기술개발 사업에는 한국지질연구원이 국내 음극재 흑연광에 대한 스마트 탐사기술과 고순도 흑연제조를 위한 선광과 제련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부경대학교가 최첨단 흑연 광산개발을 위한 채광 공정 모델링 및 디지털트윈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피치 제조, 구상화 공정개발과 음극재 원료화 연구를 진행 중이다.
2단계 과정을 추진 중인 사업은 가평을 포함한 전국 3개소의 흑연 광구를 대상으로 탐사, 광체 분포 및 매장량 파악을 수행하고 있다.
이후 국내 전문기관과 함께 경제성 분석과 개발, 선광과 제련, 원료화 과정까지 이차전지 음극재용 구형흑연 원료의 자급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연구단은 지금까지 추진해 온 기술개발 주요 내용과 연구 성과를 오는 8월 31일부터 9월 1일까지 양일간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기술세미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한농화성은 흑연을 대체할 수 있는 ‘리튬금속고분자전지용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 소재 합성기술 및 상용화 기술 개발’ 국책과제 주관기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어 흑연 관련주로 꼽힌다.
이번 연구개발이 성공하면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의 설계기술과 합성기술은 물론,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의 핵심소재인 가교제, 다공성 지지체 등의 소재 원천 기술도 확보하게 된다.
전고상 고분자 전해질은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고용량·고출력 전지 제조가 가능하다는 게 특징이다. 또 박막전지·플렉서블전지 등 다양한 타입의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