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is, 주가 급등…양자보안통신 기술 고도화 주목

김민정 기자

2023-08-31 03:11:11

KTis, 주가 급등…양자보안통신 기술 고도화 주목
[빅데이터뉴스 김민정 기자] KTis 주가가 시간외 매매에서 급등했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KTis 주가는 종가보다 4.34% 오른 3485원에 거래를 마쳤다. KTis의 시간외 거래량은 37만3063주이다.

양자기술을 둘러싸고 글로벌 패권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양자통신 보안은 한국이 표준 개발을 선도하고 있어 주목된다.

양자 보안은 양자컴퓨팅의 핵심으로 미래 기술 선점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된다. 기업들의 주도권 경쟁도 치열하다.
SK텔레콤(대표 유영상)은 29일부터 9월 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하반기 국제회의에서 '양자보안통신(QSC, Quantum-safe communication)' 표준 과제에 대한 개발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ITU-T는 국제연합(UN) 산하 정보통신기술 전문기구로 통신 분야의 표준을 정하는 단체다.

SK텔레콤은 이번 회의에서 '양자보안통신'의 표준 개발 작업에 나선다.

통상적으로 표준화 과정은 사업자의 신규 제안을 협회의 승인을 거쳐 표준 개발, 사전 채택, 국제회원국 회람, 최종 승인의 단계로 진행된다.

SK텔레콤의 '양자보안통신' 과제는 지난 상반기 회의에서 연구개발 과제로 채택됐다.

심동희 SK텔레콤 혁신사업추진팀장은 전날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진행된 기자설명회에서 "한국의 통신보안 표준 연구는 글로벌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우리가 표준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동우 퀀텀사업추진팀장은 "양자보안 상용시장도 한국이 앞서 있다"면서 "상용장비 확산을 두고 해외 사업자들이 우리의 노하우를 알고 싶어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양자암호 시범망 구축에 성공한 점을 중요 성과로 제시했다. 김 팀장은 "유럽은 비전을 발표했지만 실질적으로 성과를 낸 것은 한국뿐"이라고 강조했다.

통신사들은 일찍부터 양자보안통신에 주목하고 국제표준 선점과 기술 고도화에 집중해 왔다.

SK텔레콤은 2011년 양자기술연구소를 설립해 13년 간 양자 관련 연구를 진행해 왔다. 2018년에는 세계 1위 양자보안기업인 IDQ사를 인수하며 사업을 확대했다.

SK텔레콤은 2019년 5G 가입자 인증 서버에 양자난수생성기를 적용하는데 성공했고 작년 9월에는 양자 기반 가스센싱 시스템도 실증했다. 지난 5월에는 양자보안통신 기반 가상사설망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 서비스 출시를 준비 중이다.

이에 힘입어 SK텔레콤은 미국, 유럽,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에서 양자보안통신 구축 사업을 잇따라 수주하는 성과를 내며 글로벌 무대에서도 양자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SK브로드밴드는 양자암호의 가장 중요한 요소를 광케이블이라고 본다. SK브로드밴드는 중계기 없이 120km 구간에서 양자암호를 작동시키는 서비스 개발에 성공했다.

KT는 2017년 양자암호통신 공동 연구를 시작, 다음해 일대다수(1:N) 양자암호통신 상용 시험망을 구축했다. 2020년에는 5G 상용망 양자암호 실증에도 성공했고 작년에는 제주국제대학교 캠퍼스에 무선 양자암호통신 인프라를 구축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양자 내성 암호(PQC) 전용회선 서비스를 출시한 데 이어 여러 산업군으로 이를 확대하고 있다.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인터넷 서비스 기업이나 보안이 중요한 금융 기업들이 주요 대상이다.

양자컴퓨터의 파급력은 빠른 연산속도에서 나온다. 양자컴퓨터는 0과 1을 공존시키는 '큐비트(Quantum bit)' 방식으로 지금까지의 컴퓨터들과는 비교 불가의 속도로 연산을 수행한다.

이면에 보안 위협도 크다. 양자 컴퓨터의 암호 해독력이 워낙 막강해 기존 암호체계를 무력화시킬 우려까지 낳는다.

양자 컴퓨팅의 위협에 맞서 기업은 물론 국가 차원의 대응도 빨라지고 있다.

미국 바이든 정부는 이달 초 첨단 기술에 대한 대(對) 중국 추가 규제를 공식화하며 반도체와 AI(인공지능), 양자컴퓨팅을 지목했다. 중국의 양자기술 개발을 막고 미국이 이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전략에서다.

'2022 양자정보기술 백서'에 따르면 양자암호통신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2년 이후 연평균 39.8% 성장, 2030년에는 24조 5793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민정 기자 thebigdata@kakao.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