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일 시간외 매매에서 흥구석유 주가는 종가보다 1.38% 오른 2민21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흥구석유의 시간외 거래량은 32만2768주이다.
이는 최근 이란이 이스라엘 전역에 대한 탄도미사일 공습을 감행한 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의 이란 석유시설 등을 겨냥한 보복공격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 두며 국제유가가 급등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란이 이스라엘의 공격 시 재보복을 천명한 만큼, 전면전으로 확대될 경우 국제유가가 2008년 금융위기 수준으로 폭등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충돌 영향으로 국제유가는 하루 새 최대 5%가량 급등했다.
이후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의 이란 석유 시설을 겨냥한 보복 공격 계획에 대해 "논의중"이라고 밝히며 국제유가가 한 달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국방부도 이스라엘의 대응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사브리나 싱 미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는 확실히 이스라엘의 대응에 대해 그들과 이야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국제유가가 3거래일 만에 8% 이상 상승했다. ICE 선물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가격은 전날 종가 기준 배럴당 77.90달러로 지난달 30일 종가(71.70)보다 6.20달러(8.6%)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 종가 기준 배럴당 73.66달러로 지난달 30일 종가(68.17) 대비 5.49달러(8.0%) 올랐다.
전문가들은 전 세계 원유 생산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동 지역에서 전면전 가능성이 확대되며, 국제유가도 덩달아 치솟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이스라엘로 하여금 석유시설을 공격할 수 있다 언급하며 국제유가가 폭등했다. 이란은 그동안은 수동적으로 대응했는데, 이제는 적극 대응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이 경우 이란은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하고 이스라엘을 공격, 전면전 양상으로 가 국제유가가 폭등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예전 금융위기 당시에 140달러까지 올라갔고 그때만큼 올라갈 여건이 충분하다"며 "최악의 시나리오인 만큼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박상현 IM증권 전문위원은 "바이든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만큼 미국 내에서도 공격을 고려하고 있는 것 같다"며 "최악의 경우 이스라엘이 이란의 원유생산시설을 폭격하고 이란은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하면 유가 폭등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현실화 여부를 결정짓기엔 여전히 이른감이 있다. 가능성은 아직 좀 낮다"고 짚었다.
중동 지역 불안이 심화되면서 흥구석유와 한국석유, 중앙에너비스, 극동유화, 에스아이리소스, 세기상사 등 석유주가 주목받고 있다.
1966년 설립된 흥구석유는 12개의 직영주유소와 함께 석유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한국석유의 주요사업은 아스팔트부문, 합성수지부문, 케미칼부문으로 나뉜다. 아스팔트부문은 석유류제품 제조업 및 도소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됐으며, 울산광역시 소재 공장에서는 아스팔트, 충북 옥천 소재 공장에서는 방수시트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중앙에너비스는 주요소 운영업체이다. 중앙에너비스는 추후 석유값 인상에 따른 수혜 기대감에 강한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극동유화는 고급특수유(유동파라핀) 등을 생산하는 윤활유 사업부, 석유유통사업부, 아스팔트 사업부를 영위하고 있다. 지난 2018년 9월 케이디탱크터미널에 지분 60%를 신규 출자한 바 있다. 지난해 중 추가 증자로 지분율은 66.6% 증가했다. 케이디탱크터미널은 유류보관업을 주력 사업으로 두고 있다.
에스아이리소스의 사업은 자원판매사업 부문과 기타사업 부문으로 구성돼 있다.
대성에너지, 지에스이 등 천연가스 관련 기업도 주목받았다. 원유가 가격이 오를 수록 천연가스 채산성이 높아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에스이는 한국가스공사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해 경남 서부권역 등에 도시가스 공급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성에너지는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취사용, 난방용, 냉난방공조용, 영업용 및 산업용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세기상사의 석유판매사업부는 2021년 4월 신설됐으며, 현재 총 8개소의 주유소를 운영 중이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