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장 마감후 거래소는 제이엔비에 대해 "다음 종목은 투자경고종목에서 해제되어 30일(1일간) 투자주의종목으로 지정된다"며 "해제 이후 추가 상승시 투자경고종목으로 재지정되니 투자에 주의하시기 바란다"고 공시했다.
제이엔비의 투자경고종목 해제 사유는 29일의 종가가 ▲5일 전날(T-5)의 종가보다 60%이상 상승하지 않고 ▲15일 전날(T-15)의 종가보다 100%이상 상승하지 않고 ▲최근 15일 종가중 최고가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제이엔비는 30일부터 계산해 10일 이내의 날의 주가가 ▲4월 15일 종가보다 높은 경우 ▲4월 29일 종가보다 높은 경우 ▲판단일(T)의 종가가 2일 전일(T-2) 종가보다 40% 이상 상승하는 경우에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된다.
투자경고·위험종목 단계에서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
최근 제이엔비 주가는 강세를 이어왔다. 삼성전자가 다음주 미국 정부로부터 반도체 보조금 최대 70억달러(9조5000억 원)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4나노 공정 반도체 생산 대응을 목적으로 한 진공펌프용 스태커를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이 부각되는 것으로 보인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번 보조금은 삼성전자의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 연구개발센터, 패키징 등 4개 시설을 신설하는 데에 사용된다. 미국 정부와 이번 계약의 일환으로 삼성은 미국 내 투자를 440억달러 이상으로 두 배 넘게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미국 반도체 투자 규모를 440억달러(60조 원)로 2배 이상 늘릴 것이며 오는 15일 공식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여기에는 테일러의 새 반도체 공장, 패키징 시설, 연구개발(R&D) 센터, 그리고 아직 미공개 장소에 대한 투자도 포함하고 있다. 테일러 공장 총 면적은 54만㎡로 이곳에 약 2000명 이상이 고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제이엔비는 2003년 '스태커 시스템(stacker system)'을 개발한 후 20년간 삼성전자 생산라인 내 표준으로 인정받은 바 있다. 최근 미국 테일러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공장에 적용하기 위한 스태커를 생산하기 위해 ‘S6 Line 진공펌프용 Stacker 개발’을 진행 중이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개발 목적은 “4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공정의 반도체를 생산할 예정으로 이에 대응을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