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시간외 매매에서 한국석유 주가는 종가보다 1.31% 오른 1만626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한국석유의 시간외 거래량은 7만24주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국 하원이 중국 측의 이란산 석유 거래를 제재하는 법안을 가결한 데 이어 다른 국가에도 비슷한 제재를 적용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지난 19일 미국의 기존 제재 대상 이란산 석유를 고의로 취급하는 외국의 정유소나 항구, 선박 등을 제재하는 법안을 찬성 360표 대 반대 58표로 가결했다.
이 법안은 앞서 중국만 대상으로 포함했던 비슷한 내용의 세컨더리 제재(제3자 제재)를 모든 외국 거래 관계자로 확대한 것이다.
미국 하원은 지난 15일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중국 금융기관과 미국의 제재를 받는 이란 은행 간 모든 석유 및 석유 제품 거래를 제재 대상으로 삼는 법안을 찬성 383표 대 반대 11표로 가결했다.
외국 거래 당사자까지 3자 제재를 확대하는 법안은 19일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대만을 지원하는 총 950억 달러(약 131조원) 규모의 안보 패키지 예산안과 함께 하원을 통과했다.
이들 법안은 수일 안에 상원을 통과할 것이 유력시된다.
이란산 원유에 대한 3자 제재가 확대할 경우 유가 상승을 부추길 우려가 제기된다.
워싱턴DC에 있는 컨설팅사 클리어뷰에너지파트너스는 미국이 해당 제재를 시행할 경우 이란의 석유 수출에 영향을 미쳐 원유 가격이 1배럴당 8.4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제유가가 급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석유 관련주들이 주목받았다. 한국석유 역시 석유 관련주로 꼽히며 주가가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석유의 주요사업은 아스팔트부문, 합성수지부문, 케미칼부문으로 나뉜다. 아스팔트부문은 석유류제품 제조업 및 도소매업 등을 사업목적으로 설립됐으며, 울산광역시 소재 공장에서는 아스팔트, 충북 옥천 소재 공장에서는 방수시트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합성수지부문은 PE, PP 상품을 주력으로 각종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또한 압출 및 사출 전문기업으로서 경기도 화성 소재 공장에서는 BLOW를 생산하고 외주업체를 통해 PAIL을 생산하고 있다.
케미칼부문은 각종 유기용제, 모너머, 무기화합물 등을 국내외 메이커와 연계해 다양한 석유화학제품 생산업체에 케미칼 상품을 공급하고 있다.
김준형 빅데이터뉴스 기자 kjh@thebigdata.co.kr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빅데이터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